2023년도 사업목표
□ 성평등-포용사회 전환기의 새로운 여성정책 아젠다 개발
○ 정치ㆍ사회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성평등 정책과제 개발
○ 젠더폭력 완화 및 성평등 의식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 개발
○ 팬데믹ㆍ디지털 전환 및 경제구조 변화에 대비하는 정책과제 개발
○ 인구구조 변화 및 가족다양성 확대에 따른 성인지적 정책과제 개발
연구사업 운영방향
사업목표 | 세부내용 |
---|---|
성평등정책 전환기의 여성정책의 변화 예측과 미래사회 전망 | ○ 성주류화 제도의 내실화 방안 마련 |
○ 성주류화 및 성평등정책 추진을 위한 맞춤형 통계 생산 및 데이터 기반 확립 | |
○ 글로벌 성평등 의제의 국내외 이행 및 협력 강화 | |
포용적 성평등 실현을 위한 사회통합 정책 전망 | ○ 포용적 성평등 정책을 위한 갈등 조정 방향 제시 |
○ 젠더 폭력 변화 양상 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 |
○ 여성건강권 및 성・재생산권에 대한 미래지향적 정책 제시 | |
○ 코로나 발생 이후 여성의 우울ㆍ스트레스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 대응 | |
팬데믹ㆍ디지털 전환과 경제구조 변화에 대비하는 성평등 노동정책 발굴 | ○ 인공지능ㆍ디지털 산업 발전에 따른 여성인력의 경쟁력 향상 방안 마련 |
○ 여성의 디지털 스타트업 육성 등 여성일자리 창출 전략의 혁신 | |
○ 위드 코로나ㆍ포스트 코로나 시기 여성고용의 회복을 위한 노동정책 전환 선도 | |
○ 성별임금격차 등 노동시장 성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발굴 | |
○ 기후변화ㆍ탄소중립 정책에 따른 성인지적 여성 노동시장 정책 발굴/td> | |
고령사회ㆍ저출산, 가족다양성 관련 실질적 성평등 정책 발굴 | ○ 1인 가구 확대에 따른 성인지적 정책방안 개발 |
○ 코로나 이후 일생활 균형과 돌봄부담 개선방안 마련 | |
○ 다양한 가족・삶의 형태를 고려한 성평등정책 이슈 및 정책 방안 마련 |
중점연구사업
□ 가족변화 관점에서 가족센터사업 현황 분석 및 개편 방안 연구
□ 젠더기반폭력으로서 친밀 관계 폭력의 개념화와 대응 방향 모색
□ 디지털 전환기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와 성 격차 해소 방안
□ 여성 유권자의 세대별 투표행태 변화와 정책투표에 대한 연구
□ 성주류화 제도의 통합적 운영모형 연구(Ⅱ): 국민기초생활보장 부문 적용 가능성 탐색
□ 미래사회 성평등 정책의 도전과제(Ⅱ): 초고령·4차혁명 사회의 여성 노후소득 보장
□ 젠더 관점의 사회적 돌봄 재편방안 연구(II): 아동돌봄 질 제고 전략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