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에의 여성의 접근을 위한 우수 프로젝트 조사
        구분 수시 상태 완료
        담당자 김양희 연구기간 2000-10-01 ~ 2001-04-01

        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흔히 객관적이며, 성 중립적이라고 믿어왔던 과학기술에 대해 성 차원(gender dimension)의 문제
        제기가 시작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문제 제기의 초점은 주로 누가 과학기술을 개발하는가에 있었
        으며, 구체적으로는 과학기술 분야의 여성인력 양성 및 활용 현황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이 접근에서
        주요전략은 이 영역에 여성들의 참여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한편, Harding(1995)과 같은 단순히 여성을 과학기술 분야에 참여시키는  것뿐 아니라, 과학기술의
        발전에 있어서 젠더관계의 변혁을 가져오는 것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과학기술의 변화는
        누가 주도하며, 누가 그 비용을 감당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수혜자는  누구인지 등등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이 남성에 의해 기획되어  왔으며, 과학기술의 발전과 관련되는 기관
        이나 제도, 지역공동체 내의 사회관계 등이 내포한 성 측면(gender dimension)으로 인하여 결국 과학기술이
        여성의 지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과학기술의 변화를 여성의  관점에서 기획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새로운 과학기술에 대한
        여성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 뿐 아니라, 여성들이 종전부터 실천해 온 생태지식과 지역의 토착지식을 주류
        과학계에 통합하는 일 등 다양한 과제를 던져준다. 이때 과학기술의 소비자로서의 여성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여성 자신의 이해의 문제를 떠나 환경문제, 빈곤문제, 자원의 분배정의 문제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본다.
          이와 같이 과학기술 분야의 성 주류화를 위한 다양한 관심이 요구되는 맥락에서 금번 UNESCO 자카르타
        사무소는 UNDP 지역국, 아태 성평등 네트워크(APGEN) 등과 함께 '아태지역 성, 과학기술에서의 자원 평가,
        우수 사례 및  격차(Assessment of Resources, Best  Practices and Gaps in Gender,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sia-Pacific Region)'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1996년 인도의
        첸나이에서 개최되었던 "과학·기술과 여성: 여성을 위한 과학·기술"이라는 주제의 회의에 참가했던 12
        개국이 참가하게 되는데, UNESCO에서 본원에  한국내 프로젝트에 대한 조사를 이행할  것을 의뢰해 왔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바이오테크놀로지, 재생에너지, 정보기술,  green health, 수자원 등의 분야에서
        수행된 프로그램과 프로젝트를 조사하고, 우수사례를 선정의 기준을 마련하여, 우수사례를 선정·문서화
        하는 것이다. 한국의 경험은 아태지역 12개국의 조사 결과와 비교 검토되고 공유될 것이며, 향후 과학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 활성화에 도움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작업은 빈곤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시민사회 단체 및 기관의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나.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과학기술 분야의 성 주류화 이슈와 여성의 빈곤타파 및 경제  세력화,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논의
            (나) 바이오테크놀로지, 재생에너지, 정보기술, green health, 수자원 등의 분야에서 수행된 프로그램과
                 프로젝트 현황
            (다) 젠더 관점, 지속가능성, 이윤 등의 기준에서 우수과제를 선정하는 도구 마련     
            (라) 우수사례를 선정·문서화
          (2) 방법
            (가) 문헌연구 및 자료수집
            (나) 프로젝트 현황 조사
            (다) 프로젝트 관계자 면담
            라) 국내외 전문가 자문

        다. 기대효과
          (1) 여성단체, 시민사회단체 및 환경단체들이 과학기술을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인식 확대
          (2) 프로젝트 기획과 수행에서 젠더 관점 및 기타 주요 기준 충족을 위한 인식 형성
          (3) 아태지역 타 국가들과의 경험 및 정보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