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 주민가족의 가족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역할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장혜경 연구기간 2000-02-01 ~ 2000-12-01

        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99년 현재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자는 총  700여명이며 탈북자 가족은 600여 가
        족 정도(통일부, 탈북자돕기운동본부)로 알려지고  있다. 전반적인 추세를 보면  본격적인
        탈북자 수는 1994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탈북자의 사회적응 문제와 관련한
        사회적 관심과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탈북자 관련 선행연구들은 주로 사회보장제도를 중
        심으로 이들의 사회적응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1996;1998)
        및 북한이탈 여성주민들의 생활실태에 관한 것 (한국여성평화연구원, 1999)이 있으며,  북
        한 및 통일문제 이해를 위한 관련자료 (통일교육원,1997,1998)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연
        구들은 탈북자들의 남한 사회에서의 적응과 이를 위한 지원정책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들
        의 사회적응을 새로운 가족의 형성이나 가족을 단위로 한 탈북자 가족의 사회통합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북한의 가족정책은 소련이나 중국에서 볼  수 있었던 것처럼 가족강화정책이지만 이들
        나라보다 더 혈연적 유대관계와 효를 강조함으로써  오히려 봉건적이며 가부장적인 가족
        제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북한은 여성의 사회경제활동참여, 육아의 사회화라는 면에서
        제도상으로는 성차별이 없고 평등한 여성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
        른 사회주의 국가에서 볼 수 없는 개인숭배와  장자에 의한 세습이라는 북한식 사회주의
        의 특성으로 인해 오히려  가부장적 가족제도가 강화되고 여성은  국가조직 내에서 상위
        가부장이념과 가정내의  하위 가부장이념이라는  이중적인 억압을  겪고 있다  (통일교육
        원,1998). 이러한 북한여성의 역할 및 지위를 고려해 볼 때 남한사회에서 탈북자가족들이
        어떠한 모습을 보이는가에 대한 연구가 무엇보다도 필요한 때이다.
          가족은 개인의 사적인 생활영역인 동시에 국가나 사회와 개인을 연결하는 공적인 영역
        이다. 따라서 가족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은 가족원들이 사회적으로 잘 적응해 나갈
        수 있어 궁극적으로 사회통합의 핵심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탈북자 가족의 다양
        한 가족생활실태를 파악하고 가족안정성 정도와 가족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통일을 대비한 가족정책수립의  귀중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족 내에서 여성은 한  가정의 가족적응력과 결속력에 중요한  역할수행자이며 (장혜경,
        김영란: 1998, 1999)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탈북자가족의 가족 안정성과 사회적응에 있
        어서 이들 가족의 여성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크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는 탈북자가족의 가족생활실태와 가족안정성 정도 및 가족안
        정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탈북자 가족의 가족안정성과 여성의
        역할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가족의 가족안정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려고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탈북자 가족의 사회적응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이 어떠한  함
        의를 가질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특히 통일 후 남북한 사회통
        합을 위한 가족정책을 수립해 나아감에 있어서 가족내  여성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탈북자의 가족생활실태 파악
             (나) 탈북자 가족의 가족안정성(가족적응력과 결속력) 정도 파악 및 요인 분석
             (다) 탈북자 가족의 가족안정성과 여성의 역할과의 관계 분석
             (라) 탈북자 가족의 가족안정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 분석
          
           (2)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나) 탈북자 가족 200가구 설문조사 및 사례별 심층면접조사
             (다) 전문가 회의
          
        다. 기대효과
           (1) 탈북자 가족의 구체적인 생활실태와 사회적응 현황 자료로 활용
           (2) 탈북자 가족의 사회적응에 있어서 여성역할의 중요성 인식 제고 
           (3) 탈북자 가족의 가족안정성 강화를 위한 정책개발 자료로서 활용
           (4) 탈북자 가족의 사회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5) 탈북자 가족을 위한 정책수립과 사회적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6) 통일 후 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한 가족정책 및 여성정책 수립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