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운영위원회 운영과 여성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유희정 연구기간 2000-07-01 ~ 2001-06-01

        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정부는 21세기로의 변화에 대한 준비의 하나로서 1995년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
        개혁안'을 내놓은 바 있다.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은  동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학교를 학
        부모와 지역사회의 요구에 따라 운영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정부에 의해 1996년도부터 실
        시되기 시작하였다. 즉, 초·중등학교 내에서 학교중심 책임경영제의 수단이 되고 학부모
        와 지역사회주민이 참여하여  학교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학교운영의 의사결정기구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운영위원회는 그간 학교운영에서 소외되어 왔던 학교구
        성원들인 일반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이 그들의 의사를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데 의의를 둔다. 이로써 교사들이 학교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인
        틀을 마련해 주고, 또한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학교운영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의  교육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1999년 현재 학교운영위원회는 전국의 초·중등학교  중, 8,662개의 국·공립학교에는 의
        무조항에 따라 100% 설치되어 있고, 1,683개의 사립학교의 경우 1998년 5.7%에서 1999년
        현재 13%의 학교에 설치된 정도로 증가하고 있다.
          현행의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 의할 때,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의  규모 등을 고려하
        여 7-15인으로 구성된다. 구성비율로는 교원위원 30-40%, 학부모위원은 40-50%, 지역위
        원 10-30%이다. 이상과 같은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사례를 서울시의 4개 초등학교를  중
        심으로 조사한 결과(조수연, 1996)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대상 초등학교들에서의  교사분
        포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수가 더 많았지만 학교운영위원회의 교원위원으로서의 참여정
        도는 남교사(71.4%)가 여교사(28.6%)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교운
        영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학부모들은 대부분  여성(96.2%)이었으며 이들중 전문직 여성
        은 3명(12.0%) 정도이고 나머지 위원들은 모두 가정주부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학부
        모 및 교원위원들이 협의하여 선출하게 되어 있는  지역위원들은 대부분 그 지역의 남성
        금융인이나 사업가들이 담당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실질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는 않는 것
        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상에서 학교운영위원회에 실질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운영위원으로는 교사들과 학교
        외 인사로는 대부분 가정주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여성들이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중
        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학교운영위원회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즉, 학교
        급별, 성별 학교운영위원들의 학교운영위원회  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의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여
        성들이 실제적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바람직한 역할의 수행을 위해서는
        어떤 장애요소가 실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향후의 발전적인 참여방안을 모색해  보고
        자 한다.
          또한 여러 연구를 통하여 현재까지도  학교내에는 많은 성차별적인 문제들이 실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한국여성개발원,  1999 등),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하여  학
        교내에서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학교내의 성차별적인 문화에 대해서도 영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 문제 역시 여성운영위원들의 양성평등한 의식화에서부터  접근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커다란 목적을 지니고  있으며, 우선 학교운영위
        원회 여성운영위원이 학교운영위원회 활동에서 민주적이고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학교운영위원회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로써 민주적이고 학부모 및  아동들의 요구가 반영된 수요자  중심의 학교운영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학교운영위원들의 양성평등한 의식의 확산과 이를  학
        교운영에 반영하도록 하므로써 학교내 성차별적인 요소들을 극복하고 양성평등한 학교문
        화 정착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로써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발적전인  학교
        운영에 여성운영위원들의 역할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학교급별 학교내 학부모 활동 실태 및 현황 분석
               ① 학교급별, 남녀별 학교운영위원들의 학교운영위원회 참여 실태 분석
               ② 학교운영위원회에 여성운영위원 참여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 도출
             (나) 학교운영위원회에 여성운영위원 참여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련
               ① 여성운영위원들의 민주적이고 적극적인 학교운영위원회 참여방안 모색
               ② 학부모·아동들의 요구가 반영된 수요자 중심의 학교운영 방안 마련
               ③ 학교운영위원회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여성운영위원들의 긍정적인
                  자아성취감 증진
             (다) 학교내의 양성평등한 문화 정착 방안 마련
               ① 학교운영위원들의 양성평등의식 강화 방안 마련
               ② 학교운영에 양성평등한 관점을 도입함으로써 양성평등한 학교문화 및
                  실제적인 양성평등적 정책수행의 활성화 도모
          
           (2)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나) 설문조사 및 사례조사 실시
               ① 학부모 활동 및 학교운영위원회 운영 실태조사
                 - 대상 : 대도시 및 농어촌 소재 초·중·고등학교별 각각 15개교(총 45개교)
                          학교운영위원회 운영 담당자
               ②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위원 참여 실태조사
                 - 대상 : 대도시 및 농어촌 소재 초·중·고등학교별 각각 15개교(총 45개교)의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위원 전수
               ③ 학교운영위원회 실시 사례조사
                 - 대상 : 대도시 소재 초·중·고등학교별 각각 3개교(총 9개교)
             (다) 여성운영위원 웍?실시
                - 대상 : 관련 공무원 5명
                         여성운영위원 20명
                         학교운영위원회관련 전문가 5명
             (라) 여성운영위원들을 위한 학교운영위원회 참여지침 마련
             (마) 전문가 자문 : 3회
          
        다. 기대효과
         (1) 학교운영에 양성평등관점의 정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학교내의 양성평등한 
             문화 확산
         (2) 학부모 및 아동들의 요구가 반영된 수요자 중심의 학교운영의 활성화
         (3)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여성위원들의 참여 활성화를  통한 기타 학부모 활동의  활성화
             유도
         (4) 학교운영위원회 활성화를 통한 초·중등학교 발전에 기여
         (5) 학교운영위원회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여성운영위원의 긍정적인 자아실현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