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주부의 심리정서적 안녕과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장혜경 연구기간 1999-02-01 ~ 2000-01-01

        가. 연구목적
          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한국 가족은 핵가족화됨과 동시에 전통적 친족제도에 기
        반한 가족주의의 지속, 또 여성의 사회 참여 증가 등 현실은 변화하였다. 그러나 가
        족 담론 및 의식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여성들의 삶의  질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관
        되어 있어 이에 기초한 가족 및  여성정책을 수립해 나갈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 한 예로 기혼여성의  취업율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취업주부의
        가사분담 및 갈등요인이나 직장과 가정 양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직 기혼여성의 절반정도가  전업주부들임을 고려해 볼  때 이들에 대한
        관심과 구체적인 연구 또한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IMF체제에서 가장의 실직  등으
        로 인한 가족의 경제적 위기는  주부의 역할변화를 더욱 다양하게  하고 그로 인한
        갈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이들 여성들이 경험하
        는 갈등이 취업주부들의 역할과중에서 오는 갈등과는 다른 양상들임을 시사하고 있
        어 전업주부들이 갖는 갈등요인을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가족의 구조적 현황파악
            (나) 사회구조변화와 기혼여성들의 역할변화 및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고찰
            (다) 전업주부의 갈등요인 분석 : 생애주기별, 계층(소득)별, 연령별, 학력별 등
            (라) 갈등해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안 모색
          (2) 연구방법
            (가) 국내 및 외국 문헌연구
            (나) 질문지조사 : 남편과 1자녀이상을 둔 주부 900명
            (다) 사례조사 : 전업주부 28사례
           
        다. 연구결과 : 계속과제(1999. 2. 1 ∼ 2000. 1.31)
          조사결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 면에서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0.8세로 3,40대가 전
        체의 79.0%를 차지하였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자가 57.8%였고 자녀수가 2명인 경
        우가 전체의 66.3%로 가장 많았다. 전체 응답자의 월평균 소득은 181만 9천원 정도
        였으며 주관적 생활수준에 대해서는 중간계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45.1%로
        가장 많았다. 생애주기별로 보면 막내자녀가 영유아기(7살이하)인 경우가 40.6%, 초
        등학생기가 20.1%, 중등학생기가 20.6% 였다.  조사대상자의 배우자의 평균 연령은
        43.7세였으며 학력은 대학졸업자가 가장 많아 전체의 55.9%였다. 그외 관련사항으로
        하루일과 및 사용시간, 성역할의식, 가족/사회적관계, 역할만족도 및  남편의 가족내
        위치/부담 등이 분석되었다.
          전업주부의 심리 정서적 갈등에 대한 역할수행(아내역할, 어머니역할, 가사담당자
        역할, 친족관계역할, 사회적 활동), 가족특성(자녀와의 관계,  남편과의 관계, 가족결
        속력정도, 가족적응력정도), 개인적 특성(주관적 건강수준,  자아존중감정도) 및  연
        령, 학력, 계층, 생애주기 변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계층, 자아존
        중감, 신체적 건강상태, 부부관계,  사회참여활동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
        로 드러났다.
          현재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전업주부의 심리 정서적 안녕과 갈등예방
        을 위한 제언과 주부들의 사회적 기여방안들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라. 기대효과
          (1) 여성개개인의 삶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
          (2) 건강한 가족상 정립을 위한 가족정책 개발자료로 활용
          (3) 안정된 가족관계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