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목적
□ 한국 가족 구성의 다양성 관련, 최근 새롭게 증가하고 있는 비친족 가구에 대하여 가구원 구성, 사유, 돌봄과 부양, 가족 생활 실태 등 현황을 파악하고 가족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함
▣ 주요 연구내용
□ 비친족 가구 일반 현황
○ 가구원 수, 가구원 성별 구성, 연령별 구성 등 가구 내 가구원 구성 관련 현황
○ 가구원 개인의 일반적 특성: 교육 수준, 경제활동 등
○ 주거 점유 형태, 주거 유형 등 가구의 주거 관련 현황
□ 비친족 가구의 생활 실태
○ 가구 구성 사유
○ 가구의 경제생활 : 주거비, 생활비 분담 등
○ 가구원 돌봄과 부양 실태
○ 가구원 관계 및 상호 관계에 대한 인식
□ 가족 정책에 대한 시사점 및 정책 과제 제안
○ 가족 정책 대상으로서 비친족 가구 포용 여부 검토
○ 가족 지원 제도의 비친족 가구에 대한 사각지대 점검
○ 비친족 가구의 지원 욕구 및 지원 정책 과제 발굴
▣ 연구 추진방법
□ 문헌 연구
○ 비친족 가구 및 대안 가족 등 관련 문헌 자료 검토
○ 비친족 가구 관련 정책 현황 파악
□ 2차 자료 분석
○ 인구총조사 원자료(20% 표본조사) 분석
□ 초점집단인터뷰(FGI)
○ 비친족 가구의 가구 구성 및 가구원 특성 고려, 그룹 구성
□ 설문조사
○ 조사 목적 : 비친족 가구의 생활 실태 파악
○ 조사 대상 및 규모 : 비친족 가구의 가구원 300명 내외(예산 범위내 조정 예정)
○ 조사 내용 : 가구 구성 사유, 경제생활(소득과 지출 운영 및 부담 주체 등), 돌봄과 부양 실태, 가구원 간의 관계 등
○ 조사 방법
- 온라인 패널 활용 온라인 조사
□ 전문가 자문회의
○ 연구 방향, 조사기획, 정책과제 발굴 등 연구 진행 전반에 걸친 전문가 의견 수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