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소득보장 실효성 확보방안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은지 연구기간 2016-01-01 ~ 2016-10-31

        ▣ 연구책임자

           김은지 연구위원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육아휴직제도의 소득보장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육아휴직의 제도적 특성을 분석하고, 육아휴직 이용자들의 특성을 파악함
           ○ 주요 국가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의 육아휴직 및 관련 수당, 사회보험제도와의 연계성을 재검토함
           ○ 영유아를 키우는 근로자가족의 적절한 소득보장방안을 위한 단계적 정책방안을 제시함

        ▣ 주요 연구내용

         □ 주요 분석 내용

           ○ 육아휴직 제도현황 및 사용자 특성 분석
             - 육아휴직의 제도발전 및 급여·재원·이용자 현황 분석
             - 권리의 단위(개인 vs 가족), 권리의 성격(수당 vs 사회보험급여), 정책의 명시적·암묵적 성격 분석
             - 실증 자료를 통한 육아휴직 사용자 특성 분석
         
           ○ 주요 국가들의 육아휴직 및 관련 수당 제도 시뮬레이션을 통한 한국의 급여구조 적절성 분석
             - OECD 국가들의 육아휴직급여 및 관련 수당 현황 분석(International Network on Leave Policies and
               Research 등)
             - 육아휴직 및 관련급여 시뮬레이션 국제비교 분석(OECD Wages and Benefits 등 활용)
              ※ OECD Family Support Calculator
             - OECD 국가들의 가족급여-세금체계 계산기
             - 출산 전후 및 아동연령, 양부모/한부모여부, 소득수준, 아동 수 등에 따른 급여 시뮬레이션 제공

           ○ 육아휴직 소득보장 실효성 확보를 위한 단계적 정책방안 제시
             - 현 제도 내에서 급여인상 및 재원확보방안
             - 기타 제도와의 연계를 통한 급여인상 및 재원확보방안

        ▣ 연구추진방법

         □ 문헌리뷰

           ○ 국내외 부모육아휴직제도 검토
           ○ 육아휴직제도 관련 이론?실증연구 리뷰

         □ 2차자료 분석 

           ○ 신뢰도가 높은 2차 자료를 활용한 육아휴직 사용자 특성 분석
           ○ 육아휴직 및 관련 수당·급여 시뮬레이션 국제비교 분석

         □ 전문가 자문

           ○ 분석방향 및 결과에 대한 전문가 자문
           ○ 정책개발 자문

        ▣ 기대효과

         ○ 예상되는 학술적 기여도

           - 육아휴직 제도 활용 현황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 예상되는 정책적 기여도

           - 육아휴직제도 활용율 제고방안 마련
            ?지속적으로 문제제기가 이루어져 온 낮은 육아휴직 급여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근거 수립
           - 관련 정책 간의 연계방안 검토
            ?육아휴직제도, 양육수당, 소득·세액공제, 건강보험 등 기타사회보험과의 연계성을 검토함

         ○ 기타 기대효과

           - 원내외 가족·모성보호·일가족양립지원·소득보장정책 관련 전문가 네트워크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