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패널조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주재선 연구기간 2014-01-01 ~ 2014-12-31

        ▣ 연구책임자
        주재선 연구위원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기존 종단조사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설계되어 첫째,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와 이로 인한 일-가족생활 조화(work- family life balance) 실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둘째, 여성의 생활세계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 우리 사회 가족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할 수 있게 구성함. 또한 셋째, 현재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중요한 사회적 화두인 저출산, 고령화, 보육, 일-가정 양립, 가족친화 사회 환경 등의 변화에 대해 광범위하게 추적함으로써, 여성 및 가족정책 수립 전반에 걸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주요 연구내용
        □ 1차년도(2006년) 과제수행 내용
        국내 기존에 실시되었던 여성관련 패널의 구성내용 및 연구방법, 조사방식 등 패널 조사의 안착요건 분석
        외국의 여성관련 패널의 구성내용 및 연구방법, 관련 연구 주제 분석
        □ 2차년도(2007년) 과제 수행 내용
        1차 웨이브의 예비조사 결과 분석
        본조사 설문지 내용 수정·보완 및 확정
        □ 3차년도(2008년) 과제 수행 내용
        1차 웨이브 조사 실사 종료, 1차년도 조사 데이터 클리닝
        1차 웨이브 조사 자료에 대한 외부 release를 위한 준비작업
        □ 4차년도(2009년) 과제 수행 내용
        1차 웨이브 본조사 자료에 대한 외부 release
        □ 5차년도(2010년) 과제 수행 내용
        2차 웨이브 본조사 자료에 대한 외부 release 작업
        □ 6차년도(2011년) 과제 수행 계획
        3차 웨이브 본조사 완료. 데이터 클리닝 및 검증, 가중치 부여
        □ 7차년도(2012년) 과제 수행 계획
        1,2,3차 웨이브 본조사 자료에 대한 일반인 release 작업
        □ 8차년도(2013년) 과제 수행 계획
        4차 웨이브 본조사 완료.
        1,2,3,4차 웨이브 본조사 자료의 국내외 전문가 대상 릴리즈
        □ 9차년도(2014년) 과제 수행 계획
        4차 웨이브 본조사 자료에 대한 일반인 릴리즈 작업
        □ 10차년도(2015년) 과제 수행 계획
        □ 여성가족패널 조사표 구성
        □ 여성가족패널 원표본 유지율

        ▣ 연구방법
        □ 패널포럼 진행
        □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 1,2,3,4차 웨이브 조사 자료에 대한 종단 클리닝 및 검증
        □ 1,2,3,4차 웨이브 본조사 자료에 대한 일반인 릴리즈
        □ 4차 여성가족패널 학술대회 개최
        □ 5차 웨이브 본 조사 실시
        □「여성가족패널 브리프」발간(년2회)
        □ 패널포럼 개최(년4회)
        □ 국문 및 영문 홈페이지의 주기적 관리
        □ 연구진 패널 워크숍 개최
        □ 여성관련 패널조사 기관과의 MOU 추진

        ▣ 정책적 기여도
        □ 여성정책의 핵심적 사항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촉진 및 경제적 자립 증진, 여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 여성빈곤화 방지 등의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 가족의 변화 방향을 파악하고 가족의 객관적 사항에 의거한 가족정책수립이 가능. 양성평등한 가족정책의 수립과 현재 가족문제의 핵심적 사항들인 보육, 이혼, 동거, 가족의 다양화, 저출산, 노인부양, 빈곤 문제 등을 파악하고 지원할 수 있는 토대 마련
        □ 향후 다양한 집단의 여성인력의 양성과 활용 등에 관련된 제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 체계적인 인력정책 수립에도 기여하게 될 것임.
        □ 여성건강 영역에 대한 국제 비교와 다양한 인구학적 변수를 통해 일과 가족, 저출산 등과 여성건강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 및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