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관리직여성 핵심역량 강화 지원방안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문미경 연구기간 2009-01-01 ~ 2009-12-31

        ▣ 연구책임자
        문미경 연구위원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최근 인적자원관리의 변화추세를 보면 과거의 연공서열중심의 인적자원관리에서 직무중심으로, 직무중심의 인적자원관리에서 현재는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로 변화하고 있음.
         ? 최근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관심은 단연 조직의 미래 비전을 책임질 수 있는 역량강화를 통한 핵심인재의 양성이라 할 수 있음. 핵심인재 육성에는 개인들에게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시키는 것이 기본이 됨.
          - 핵심 역량이란 특정한 목표상황에서 효과적이면서도 보다 높은 성과를 가능케 하는 개인 또는 조직의 내적 특성으로 특정한 개인이 아무리 우수하다고 하여도 그가 맡고 있는 일에서 요구되는 능력들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일정한 성과를 내지 못한다면 그가 가지고 있다는 소위 능력은 무용지물이 됨. 따라서 역량의 의미는 전략적 선택이나 기대에 의해 상황적으로 규정될 수 있고 조직에서의 많은 경험과 교육을 통해서 이러한 역량은 개발될 수 있음.
         ? 핵심 역량에 대한 중요성은 공공부문이나 민간부문이나 마찬가지임. 확보된 인력을 조직의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동력으로 키워나가려는 노력은 인재대국을 통한 글로벌코리아 창조에도 핵심적 요소임.
          - 정부 또한 공공부문의 인적자원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구성원의 직무역량을 강화하고 능력을 발전시켜 범정부적 시야와 글로벌 스탠더드를 갖춘 국가핵심인력으로 양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 현재 인적자원관리 대상이 역량중심으로 전환되어가고 있는 이유는 직무중심의 인적자원관리가 주어진 직무에 대한 성과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직무를 수행하고 그 실적과 활동을 사후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접근방법인 반면,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는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적극적이고 사전적인 노력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직무역량에 중점을 두는 접근방법이기 때문임.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인적자원관리 대상의 변화 추이에 맞추어 공공부문(공무원/공기업) 관리직급 이상에서 강조되고 있는 핵심역량을 살펴본 후 관리직급 이상에서 여성의 핵심역량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함. 이를 통해 관리직여성에게 조직에서 더 요구되는 역량은 무엇인지, 그리고 관리직 여성들이 더 필요하다고 느끼는 역량은 무엇인지, 또한 현재 정부 교육훈련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역량강화관련 프로그램 중 보완해야 부분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향후 관리직여성을 위한 역량강화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이러한 연구는 현재까지 여성관련 연구들이 채용단계에서의 양적 확대에 치중해 왔던 기존의 시각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여성들을 중요한 국가인적자본의 시각에서 이들의 역량강화를 통한 국가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음.
         
        ▣ 주요 연구내용

         ? 공공부문 인적자원관리의 변화추세
         ? 핵심역량 정의
         ? 핵심역량에 이론적 검토
        - 기존문헌에 대한 검토
        - 핵심역량구성 및 지표에 대한 검토
        - 본 연구에서의 핵심역량구성 및 지표 마련
         ? 관리직 핵심역량 조사 및 분석
        - 공무원/공기업 관리직 핵심역량 조사 결과
        - 관리직 남녀간 핵심역량 조사 결과
        - 계층간 핵심역량 조사 결과
         ? 관리직 핵심역량 강화관련 국내 교육·훈련프로그램 조사
         ? 핵심역량 강화 외국사례 수집 및 분석(미국(OPM: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호주(APSC: australian public service commission), 캐나다(CSPS: canada school of public service))
         ? 공공부문 관리직 여성을 위한 핵심역량 강화 지원방안 마련
        - 관련 법·제도 개선
        - 역량과 교육훈련 연계
        - 기존 교육프로그램 개선
        -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제안

         

        ▣ 연구추진 방법

         □ 문헌연구 및 자료수집
         ? 각종 문헌연구, 실태 및 정책 자료, 해외 사례 수집
           - 행정안전부의 『통계연보』와 『여성과 공직』, 각 지방자치단체 통계연보, 중앙인사위원회 통계, 한국여성개발원 『여성통계연보』, 여성부 『여성백서』그리고 이 연구와 관련된 기존의 보고서 및 논문, 문헌들을 검토함.

         □ 델파이 조사 실시 및 설문조사
         ? 관리직 역량 구성 및 지표에 대한 델파이 조사 실시
           - 계층간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 구성요소 및 지표를 생산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학계, 연구원, 정부, 공기업)에게 델파이 조사를 실시함(2회-3회, 30명 내외).
         ? 설문조사 실시
           - 델파이 조사를 통해 확정된 핵심역량 구성 및 지표를 이용하여 구조화된 설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조사를 실시함(공무원/공기업 관리직급 이상 남/녀 1,000명)

         □ 심층인터뷰(15명 이내)
         ? 델파이 조사나 설문조사로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에 공무원과 공기업에 종사하는 관리자를 대상으로 직접 인터뷰를 실시함.
           - 역량에 대한 성별 이슈 파악, 조사내용 논의

         □ 전문가 자문회의(3-4회)
         ? 원내외 전문가 자문회의(착수, 중간보고회 등)
           - 연구방향 설정, 연구과정 점검, 정책과제 논의

         

        ▣ 관련부처 및 국정과제 관련성

         ? 관련부처
           - 행정안전부,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앙공무원교육원, 지방자치단체 지방공무원교육원, 기획예산처, 공기업
         ? 국정과제 관련성

        NO

        국정지표

        국정과제

        1

        맞춤형 산업기술인력 양성

        인재대국

        2

        성과주의 인사제도

        섬기는 정부

        3

        양성평등 수준 향상

        능동적 복지


        ▣ 기대효과

         ? 조직원의 개인역량 강화를 통한 조직몰입도 및 만족도 향상
         ? 조직원들의 핵심 역량강화를 통한 조직 및 국가경쟁력 강화
         ? 공공부문 관리자 직급에 대한 역량 체크리스트 개발을 통해 개인 및 조직에 사전적이고  적극적인 직무성과 향상에 기여
         ? 여성들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보완 및 도입을 통해 국가 고용주로서의 선도적 역할 및 민간부문으로의 파급효과에 기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