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 여성의 사업서비스업 진출 촉진방안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신선미 연구기간 2009-01-01 ~ 2009-12-31

        ▣ 연구책임자
        신선미 연구위원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OECD 등 선진국은 사업서비스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업서비스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수행 및 정책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특히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정보처리 서비스, 연구ㆍ개발 및 기술측량 서비스, 마케팅 서비스, 경영상담 및 인력채용을 포함하는 기업 서비스, 인적자원개발 서비스 등을 전략적 사업서비스업(strategic business services)으로 분류하고 있음(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사업서비스업의 일자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2001년-2006년 기간에 전체 일자리 수는 7.3% 증가하였으나, 사업서비스업 일자리는 45.2% 증가하였음. 2006년-2011년 사이에 전체 일자리는 연평균 1.3%, 사업서비스분야 일자리는 6.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연구 및 개발업(연평균 8.1%), 사업지원서비스업(연평균 7.1%)의 일자리가 가장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한국고용정보원 2007). 
         □사업서비스업의 중요성은 인식되었으나 이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미흡한 상태임. 지난 10년간 정부가 주도한 성장동력사업에 사업서비스업 발전에 도움이 되는 연구ㆍ개발사업이 포함되기는 하였으나, 사업서비스 산업의 발전 전략이 고려되지 않았음.
         □ 정부는 7% 성장과 300만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정과제의 하나로 “지식기반 서비스산업 육성”을 선정하였으며, 최근 발표한 6개 분야 22가지 신성장동력에서도 지식서비스 분야에서 4가지 신성장동력(소프트웨어, 디자인, 헬스케어, 문화콘텐츠)을 선정하였음. 최근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미래산업 청년리더 10만명 양성계획”은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금융, 디자인, 국제적합성, U-city 및 공간정보, 기술경영 및 사업화, 플랜트 분야 등 6개 분야의 전문인력 2.6만명 양성 계획을 담고 있음.
         □사업서비스업 육성과 산업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리더 역할을 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인력뿐만 아니라 현장 경험을 갖춘 숙련인력이 요구됨. 5인 이상 사업서비스업체 종사자의 17.8%가 근로자 수 5-9인의 소규모 업체에 취업해 있고, 이 업체들의 인력부족률도 4.3%로 전체 5인 이상 사업서비스업(2.8%)에 비해 매우 높음. 1인 기업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미취업 고학력 여성의 평생직업교육 수요가 고급 직종 진출을 지향하고 있으나, 현재 제공되는 여성 평생교육은 주로 비전문직, 저숙련직에 초점을 두고 있어, 고학력 여성의 수요에 부합하는 평생직업교육이 부족함. 또한 여대생의 커리어개발 정책도 사업서비스업과 같은 유망산업 분야 진출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  
         □ 따라서 이 연구는 향후 양질의 고용증가가 기대되는 사업서비스 분야에서 여성에게 유망하고, 기존의 선행연구가 충분히 다루지 못한 분야를 중심으로, 대졸이상 여성 고급인력의 입직 및 경력개발 실태를 살펴봄으로서, 향후 해당 분야로의 여성 고급인력의 진출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또한 이 연구는 서비스 시장의 개방, 외국계 기업의 진출로 이 분야 국내 인력의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데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음.

         

        ▣ 주요 연구내용

         □ 사업서비스업의 발전 및 고용 규모 추이, 사업체 현황, 성별 종사자 특성 분석을 통해 유망 직종 정의
         □ 사업서비스업 유망직종 여성인력 수요의 질적 특징, 취업자의 입직 및 경력개발 과정 분석
         □ 여성 진출 촉진 방안 개발
           - 정규 고등교육을 통한 여성 진출 촉진 방안 검토
           -대학 부설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등을 통해 맞춤형 고급인력 양성 방안 검토
           -지역사회 여성인력개발센터 등 평생교육기관을 통해 20-30대 미취업 고학력 여성을 위한 교육ㆍ훈련 및 일자리 연계 사업 검토
           - 사업서비스업 분야 여성 창업 장애요인 파악

         

        ▣ 연구추진방법

         □ 문헌분석
         □ 거시통계분석
           -경제활동인구조사(통계청), 산업별ㆍ직업별 고용구조조사(한고원) 인력수요동향조사(노동부) 등

         □ 포커스 집단 면접조사

          ○ 조사대상 (총 200명)
           - 사업서비스업 분야 유망 직종별 인력수요 집단(사업체 CEO, 인사담당, 헤드헌터, 아웃소싱 정보제공 업체, 1인 기업 등) 50명 (직종별 5명 내외)
           - 사업서비스업 분야 유망 직종별 취업자 및 교육-훈련생 100명
             (직종별 10명 내외)
           -여성 고급인력 교육ㆍ훈련 기관(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여성인력개발센터, 관련 공무원) 50명

          ○ 조사내용
           <인력수요집단> 인력 수요 및 채용 방법, 요구되는 직무능력, 여성인력의 주요 활용분야, 여성인력(신규, 경력)에 대한 만족도, 향후 여성 인력 활용 의사 등
           <취업자 및 교육훈련생> 학력, 전공, 자격취득, 구직방법, 입직경로, 담당 직무 내용, 교육 및 훈련 요구 및 참여 실태, 경력개발, 네트워킹, 해당 직업의 일자리 전망 등
           <교육ㆍ훈련 기관> 사업서비스업 분야 진출을 위한 교육ㆍ훈련 프로그램 운영 실적, 신규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 및 필요성, 프로그램 운영 성과, 향후 운영 계획

         □ 세미나 (2회)
           - 사업서비스업 분야 유망직종 발굴 세미나
           - 사업서비스업 분야 여성인력 진출 확대 방안 세미나

         □ 전문가 자문회의

         

        ▣ 관련부처 및 국정과제 관련성

         □ 관련부처 : 여성부, 교육과학기술부, 지방자치단체

        NO

        국정지표

        국정과제

        1

        활기찬 시장경제

        서비스업 경쟁력 강화방안

        여성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만들기

        2

        인재대국

        수요자 중심의 직업능력개발체제 구축


        ▣ 기대효과
         □ 해당 분야 여성인력의 입직 및 경력개발 지원방안 마련
         □ 해당 분야 여성인력의 진출 확대를 위한 양성단계 정책개선 방안 도출
         □ 해당분야 여성인력의 경력개발 촉진을 위한 교육훈련 방안 마련
         □ 해당 분야 여성인력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