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와 통일의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정책연구
        구분 수시 상태 완료
        담당자 김이선 연구기간 2005-03-01 ~ 2005-10-01

        ◎ 용역의뢰기관 : 통일연구원

        [연구 목적]

        세계시장의 형성과 이데올로기 장벽의 철폐,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등 새로운 환경 속에서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는 초국가적 공동체(transnational community)형성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동북아 지역에서도 분열과 폭력으로 얼룩진 과거를 씻고 평화와 번영을 향한 미래지향적인
        지역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초국가적 공동체는 단지 물적 자원의 교류나 공통의 제도만으로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성원들이
        문화적 상징을 소통, 공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동북아 차원에서도 문화적 상징의
        소통을 위한 다양한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국가단위의 정적이고 형식적인 문화교류를 넘어서
        다양한 사회주체들이 문화적,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상징을 발굴하고 소통하는 역동적 과정을 이끌
        어가야 할 것이다. 특히, 국가 지배체계 하에서 간과되었던 문화주체들이 그 역량을 적극적으로 발휘
        하여 공동체 형성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1차연도: 2004>
           - 여성문화유산의 개념 정의 및 유형화
           - 직조공예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 여성문화유산의 의미와 가치 파악
           - 여성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교류협력 가능성 모색
        <2차 연도: 2005>
           - 동북아 여성문화유산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기반 자원과 역량 파악
           - 동북아 여성문화유산 네트워크의 구축방안 제시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에 있어 문화생산 및 소통의 주체로서 여성의 역량을 확
        인하고 여성문화유산이 지니는 공동체적 가치를 발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동북
        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문화적 상징 소통 통로의 다양화와 평등하고 미래지향적인 동북아 문화
        공동체의 방향 정립에 기여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다.

        [연구내용]

        1차 연도(2004년)에는 여성문화유산의 개념을 정립하고 유형화의 기본 틀을 정립하였으며, 직조
        공예에 초점을 맞추어 동북아 지역의 직조공예가 여성문화유산으로서 지니는 가치를 파악하고
        동북아 3개국의 주요 직조 생산지를 중심으로 직조생산 현황과 여성생산자의 위상, 여성문화유산
        으로서의 가치 형성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 중, 일 3개국의 여성문화유산은 동북아 여성
        교류의 자원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평등하고 미래지향적인 동북아 문화
        공동체의 형성을 위한 매개체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계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데,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관련 GO와 NGO, 전문가를 아우
        르는 광범위한 네트워크가 중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연도에는 동북아 여성문화유산 네트워크의 방향을 한층 구체화하고
        실제적인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동북아 3개국의 여성문화유산 관련 기구ㆍ단체 현황을 살펴
        봄으로써 여성문화유산 네트워크 구축에 활용될 자원과 주체의 역량을 가늠하고 주요 기구와 단체
        활동 현황을 파악하여 교류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발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동북아 여성문화유산
        네트워크의 구축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2차 연도 연구의 근간을 이룬다.
         ? 동북아 3개국의 여성문화유산 관련 주요 기구 및 단체, 전문가 현황
         ? 주요 기구 및 단체의 활동 현황
         ? 동북아 여성문화유산 교류 사례
         ? 동북아 여성문화유산 네트워크 방향

        [연구방법]

         ? 문헌연구
         ? 동북아 3개국(한국, 중국, 일본) 여성문화유산 관련 주요기관 및 단체 조사
           ㆍ기관 및 단체 현황
           ㆍ활동현황
           ㆍ동북아 교류 사례
         ? 전문가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