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성장동력 산업분야 여성고급과학기술인력 양성방안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신선미 연구기간 2006-01-01 ~ 2006-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정부는 2003년 8월 한국경제의 성장엔진을 담당할 10대 신성장동력 산업을 확정하고, 그 추진계획
        을 발표한 바 있으며, 과학기술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주가 되어 동 분야의 발전을 선도할 인력양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국가과학기술경쟁력강화를위한이공계지원특별법(2004. 3. 22. 제정, 시행령 11. 23.)」에 따라 각
        부처별로 수립·시행되어온 이공계 인력 양성·지원정책을 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총괄하며, 5년마다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임(2006-2010계획 중).
            (참고)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1. 디지털 TV·방송 산업   2. 디스플레이 산업
            3. 지능형 로봇 산업   4. 미래형 자동차 산업
            5. 차세대 반도체 산업   6. 차세대 이동통신 산업
            7. 지능형 홈 네트워크 산업   8. 디지털콘텐츠·SW솔루션 산업
            9. 차세대 전지 산업   10. 바이오 신약·장기 산업
        ? 교육인적자원부는 대학 특성화 정책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과 연계시키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차세대 성장동력 보고회, 윤덕홍 총리), 이에 따라 ‘2005학년도 대학원생 정원조정 계획’을 차세대 성
        장동력 분야에 연계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동 분야의 중장기 인력 수급 정보를 제공하기로 한 바 있음
        (전자신문, 2004. 5. 19). 정확한 인력수급 정보 제공을 위해 현재 각 대학으로부터 해당분야 학사, 석
        사, 박사 인력양성 현황을 파악 중에 있음(인력수급정책과, 2005. 3. 17일자 공문). 대학 특성화 사업
        중 동 분야 관련 사업이 2003년 30개 중 3개에 불과했으나 2004년에는 27개 중 10개로 늘어남.
        ? 과학기술부가 현재 추진 중인「제1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에 관한 기본계획(2004. 7. 28.)」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확정 직전에 수립된 것으로, 주로 기초과학 진흥이나 기본 인프라 구축에 관련
        된 정책이 주를 이루고, 여성고급과학기술인력(특히 공학분야)을 위한 정책개발이 미흡함.
        ? 공학계 여학생수는 석사과정 4,962명, 박사과정 985명으로, 각각 전체 학생수의 13.5%, 10.6%에 불과
        함.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은 향후 유망직업 중심의 고용확대가 예상되는 분야인데 동 분야의 여성 진
        출이 양성단계에서 매우 저조함을 알 수 있음.
        ? 향후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에 따르면 2015년 이후 박사 인력 부족이 예상됨. 그러나 석사과정 이상
        의 고급인적자원 양성단계에서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의 문제점을 파악한 선행연구가 없어, 이들 소수
        의 이공계 석사과정 이상의 여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교육경험 실태가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급여성과학기술인력 육성 정책개발이 미흡한 실정임.
        ? 향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분야의 여성고급과학기술인력을 보다 많이 양성·공급하기 위해서는 현
        재 관련 학과 석사 이상 박사 후 과정 여학생들의 교육경험과 경력개발 실태를 밀착 조사하여, 문제
        점을 파악하고 보다 많은 여학생들이 동 분야로 진출하도록 촉진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연구방법

        (1) 문헌조사: 국내외 참고문헌 및 정책자료
        (2) 통계자료 분석
        - 교육통계연보(양성규모/ 졸업자의 취업실태)
        - 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조사/ 산업별·직업별 고용구조조사
          (성별, 연령별, 직군별, 조사대상기관 유형별, 학력별, 전공별 과학기술인력 규모)
        (3) 심층면접
           - 여학생 30명(석사과정, 박사과정, 박사 후 과정, 대학 연구소 및 센타 등)
           - 남학생 10명(석사과정, 박사과정, 박사 후 과정, 대학 연구소 및 센타 등) 
           - 교수/ 차세대성장동력사업단 관계자 20명
        (4) 외국 정책사례 조사: 국제기구, 정부부처 및 차세대 성장동력 분야 산업체 대상
        (5) 전문가 자문회의

        ▣ 주요 연구내용

        (1) 이론적 논의
        (가) 차세대성장동력 산업 선정 배경과 의미
        (나) 차세대성장동력 산업 분야 인력 수요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다) 차세대성장동력 산업 분야 인적자원개발정책 동향
        (라) 여성과학기술인력 양성정책 검토
        (마) 과학기술분야 여성인적자원의 진로 및 경력개발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2) 공학계 여성고급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 현황
        (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관련 소계열(학과) 정의
            (교육인적자원부 조사자료 참고)
        (나) 소계열별(학과별) 대학원 과정 여학생 현황
        (다) 소계열별(학과별) 학위취득자의 진로현황
        (라) 공학계 여성고급과학기술인력 활용 현황
        (3) 공학계 대학원 여학생의 교육경험과 경력개발
        (가) 진로선택과정과 교육경험
        (나) 현장실습/ 인턴십/ 연구 프로젝트 참여
        (다) 직업계획과 경력개발
        (라) 여성과학기술인 양성 지원사업 인지도 및 수혜 실태
        (4) 선진국의 여성고급과학기술인력 양성정책 사례
        (가) 미국
        (나) 영국
        (다) 프랑스
        (라) EU 정책
        (5) 정책제언
        (가) 공학계 여자 대학원생에게 적합한 대학 특성화 방안
        (나) 여성고급과학기술인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분야 진출 지원방안
        (다) 초/중등/대학(학부) 여학생 진로지도에 활용할 모델 제시

        ▣ 기대효과

        (1) 대학원 교육에서 공학계 여성고급과학기술인 양성 촉진 방안 도출
        (2) 여학생들의 공학계(특히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분야) 진로선택 촉진 방안 도출
        (3)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분야 관련 기존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정책 보완 방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