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여성 청년층 노동시장 구조파악과 취업제고방안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종숙 연구기간 2007-01-01 ~ 2007-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현재 우리나라 청년층의 실업율은 2006년 6월 현재 7.4%로 나타나며 과거 청년층 실업율이 3% 미
        만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매우 심각한 수준을 지속하고 있음.
        ?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 8월에는 20대 여성 취업자수가 전년도 대비 11만 6천명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청년층 집단의 취업이 정책적으로 매우 시급한 사안임을 나타냄.
        ? 청년층의 취업은  향후 우리나라 노동시장 및 사회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더 나아가 혼인,
        출산 등 가족구성 등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어 사회정책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분야임.

        □ 정부는 여성 청년층의 활용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자 하며 “여성인력개발 종합
        계획”에 의거하면 고학력 여성인력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들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임.
        ? 우리나라 대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OECD 최하위권이며 향후 전체 경제활동참가율 제고를 견
        인해야할 집단으로 대졸 여성을 들고 있음.
        ? 동 계획에서는 유망분야인 문화 및 사업서비스 분야, 과학기술분야 등에 대한 정책추진계획을 가지
        고 있음.
        ? 각 부문별 정책에 앞서 대졸 여성청년층의 취업을 제고하기 위하여 보다 포괄적인 노동시장 구조파
        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임.

        □ 여성 청년층 노동시장의 문제는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이후 노동시장에서의 안착, 이를
        위한 노동시장 구조의 문제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음.
        ?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은 대학의 전공이나 커리큘럼과 산업체의 수요를 대학교육과 조응하
        도록 하는 방안, 학교와 산업체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 노동시장 이행과정의 정보비대칭성을 해
        소하는 방안 및 효과적인 구직지원 등에 정책제안들이 이루어져 왔음. 상대적으로 이 영역은 연구
        및 정책개발이 이루어져 온 분야임.
        ? 이어서 노동시장에서의 안착문제는 취업으로 이행한 집단이 어떤 종사상의 지위로 이행하여 향후
        어떠한 경력형성과정을 거치는가에 관련된 문제임. 이들의 취업지위, 임금이나 근로조건의 문제, 노
        동이동과 같은 부문들에 대한 심층적인 정책제안이 요구됨.
        ? 마지막으로 가장 현재 중요한 문제로 나타나는 것은 여성 청년층의 노동시장 구조라 할 수 있음. 이
        부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게 이루어져 이들의 수급에 대한 양적인 정보도 구축되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구조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따라서 실효성 있는 정책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
        초가 마련되지 않고 있음.

        □ 여성 청년층 노동시장 구조의 문제는 다시 몇가지의 세부사항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임. 
        ? 여성 청년층 집단에 대한 노동시장 수요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임. 과연 기업들은 어느 정도 규
        모의 인력을 운용하고자 하는가, 어떤 능력과 기술을 보유한 인력을 보유하고자 하는가 하는 점이 우
        선적으로 규명될 필요가 있음.
        ? 여성 청년층이 원하는 일자리는 어떤 일자리인가, 괜찮은 일자리의 특성을 파악하여 노동공급에 대
        한 향후의 선호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
        ? 이어서 현재 여성 청년층 집단은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 및 학력과 비교할 때 어떠한 취업역량을 가
        지고 있는가를 파악하여 미스매치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한 파악이 요구됨.
        ? 이러한 노동시장 구조를 파악하지 않고서는 여성 청년층 집단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
        하는데 한계를 가질 것임.

        □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 청년층 집단의 취업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을 둘러싼 노동시장의 구조를 수
        요 및 공급면에서 살펴보며 여성 청년층의 취업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자 함. 이 결과를
        이용하여 보다 구조적인 차원에서의 청년층 노동시장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여 향후 고학
        력 청년여성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연구방법

        □ 노동시장구조에 대한 문헌연구: 사회자본에 관한 기존 이론적 논의 리뷰
        □ 외국의 청년실업 해소 사례 분석(우리나라와 유사한 경제규모시 외국의 청년실업 문제 해결을 위
        한 정책 점검)
        □ 기존 통계자료 분석(경제활동인구조사, 사업체 패널조사, 노동력수요동향조사, 임금구조기본실태
        조사 등):
        □ 기업체 인사담당자 대상의 심층면접조사(공?사부문 기업체 인사담당자 50명(기업규모별, 업종별
        안배), FGI 형식으로 조사): 여성 청년층 집단에게 요구되는 직무능력과 최근 여성 청년층 집단의 역
        량 평가
        □ 여성 청년층 집단 심층면접조사(대학재학생, 졸업생 중 비취업자 50명, FGI 형식으로 조사): 여성
        청년층 집단의 취업선호, 취업준비사항, 문제점
        □ 선진국의 여성 청년층 취업지원 정책 사례조사: 해외출장
        ▣ 주요 연구내용
        □ 청년 노동시장의 구조에 대한 이론적 논의
        ? 청년층의 노동시장내 지위와 특성
        ? 청년층의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논의(외국의 동향 포함)
        ? 기업의 인력활용과 인력수요
        □ 여성 청년층 노동시장 개괄
        ? 경제활동사항(취업, 실업 등 사항)
        ? 근로조건 개괄
        ? 구직과정 개괄
        □ 여성 청년층 노동수급 전망 및 문제점 파악
        ? 정량적 전망
        ? 정성적 전망
        ? 수급불일치의 원인 파악
        □ 외국의 청년실업 해결을 위한 정책사례 분석
        □ 여성 청년층 노동시장 구조를 기반으로 한 여성고급인력개발 정책을 제안함.

        ▣ 기대효과
        □ 여성 청년층 집단의 노동시장 수급을 전망하여 향후의 고학력 여성인력개발정책을 위한 기초자료
        를 축적함.
        □ 여성 청년층 노동시장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영역을 발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