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예방 관리 방안: 서비스직을 중심으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양희 연구기간 2006-01-01 ~ 2006-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과로사, 뇌심혈관계질환, 정신질환자의 산재보상보험인정건수가 최근 3-4년
        사이 2-3배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현재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뇌심혈관계질환은 근골격계질
        환과 함께 직업병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산재보상보험자료는 보험을 신청하고 승
        인된 건수에 국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발생되는 건강장해는 그 규모와 증가속
        도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됨. 직무스트레스관련 건강장해는 우리 사회의 노동환경의 제 측면, 고용불
        안정성,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변화와 관계가 있음.
        □ 미국의 경우 근로자의 3/4이 이전 세대보다 업무상 스트레스가 크다고 인식하고 있고 스트레스가
        높은 수준이라고 보고한 근로자들에게서 의료비가 거의 50% 더 지출 (Goetzel, 1998) 유럽의 통계
        (1999년)에 의하면, 작업관련손실일수의 50-60%가 스트레스와 관련된 것임. 영국(HSE, 2004)에서는
        스트레스, 우울증, 걱정으로 손실된 노동일수는 전체 노동자가 취하는 병가 중 53%에 해당함. 스트레
        스관련 건강장해에 의해 적어도 연간 4천만 작업일의 손실과 손실된 1년간의 생산비용, 상병수당, 의
        료비를 합치면 110억 파운드(약 22조)를 넘음. 즉 외국에서도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파생되는 결과는
        엄청나기 때문에 각 국에서는 정부차원의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고 사업장내의 예방관리 시스템을 마
        련하고 있음.
        □ 우리사회에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예방하기 위한 법적 기반이 최근 마련되었음. 2003년 개정된 산업
        안전보건법 5조에서는 “근로자의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예방”해야 한다는 사업주의 의무
        조항이 신설되었고 시행규칙 259조에는 직무스트레스 위험요인 파악, 개선방향 제시, 작업량, 작업일
        정 수립시 근로자 의견 반영, 뇌심혈관계질환의 위험에 대한 근로자에게 주지하기 등 6개항의 상세
        한 규칙이 마련되어 있음.
        □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의 안전사고 예방팀과 산업보건팀의 운영, 2005년 4월부터 가동되는 정
        부혁신위에서 산업재해를 주요한 이슈로 다루고 있는 상황에서 직업병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의 원인파악과 대책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음.
        □ 국외 문헌을 보면 여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는 남성보다 대체적으로 높고 스트레스의 원인도 상
        이하다는 연구결과가 있음. 여성과 남성근로자가 처하고 있는 노동환경과 직장, 가정과의 연계상황
        이 상이하여 직무스트레스 요인도 달라질 것으로 기대됨. 또한 여성이 집중되어 있는 서비스업의 직
        무스트레스는 고객과의 대면관계에서 나오는 업종 특이적인 직무스트레스 원인도 있음. 따라서 서비
        스업의 남녀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예방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이러한 차이
        가 정부정책과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방안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함.

        ▣ 연구방법

        □ 문헌연구
        ○ 국내외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문헌 검토
        ○ 외국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에 대한 검토
        ○ 외국의 직무스트레스 가이드라인에 관한 검토
        ○ 외국의 사업장내 직무스트레스 예방시스템에 관한 검토
        □ 설문지 조사
        ○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여성근로자에 대해 설문지조사 및 대조군으로서 남성근로자 포함(여성근로
        자 약 1000명, 대조군으로서 남성근로자 약 300명)
        ○ 타 직종과의 비교는 2003-2004년 직무스트레스학회에서 수집한 자료와 비교
        □ 관계전문가 회의(2회)

        ▣ 주요 연구내용

        □ 직무스트레스의 이해
        ○ 직무스트레스의 정의
        ○ 직무스트레스의 발생원인
        ○ 직무스트레스의 결과
        □ 직무스트레스발생원인 조사결과
        ○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선정
        ○ 직무스트레스 발생원인
        - 인구사회적 특성, 건강행태(음주, 흡연, 운동 등), 성격유형, 사회적 지지
        - 직무내용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발생원인
        ○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 육체적, 정신적 건강(PWI), 피로도(MFS)
        □ 각 국의 직무스트레스 지침 검토
        ○ 지침의 전반적 내용(영국, 미국, 일본, EU)
        ○ 서비스직종의 여성근로자에 특수한 내용
        □ 직무스트레스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정책
        ○ 여성근로자를 위한 가이드라인
        ○ 사업장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과 관리방안
        ○ 정부의 직무스트레스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정책

        ▣ 기대효과

        □ 직무스트레스 발생요인의 젠더차이에 대한 기초자료 생산
        □ 서비스 업종의 직무스트레스 가이드라인 작성
        □ 스트레스 감소로 인한 근로자건강 증진과 사회적 비용의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