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 후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변화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변화순 연구기간 2006-01-01 ~ 2006-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최근 높은 이혼율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우려는 이혼으로 인한 여성가구주의 비율이 증가하고, 이
        는 바로 여성가구주의 빈곤화 문제와 직접적 연관성이 있기 때문임(Yoon & Lee, 2002). 실제로 미국
        의 경우 가족해체가 여성 및 아동이 빈곤에 처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음.
        한국의 경우 한부모가구 수에서 이혼가구주가 차지하는 비율이 1985년 11.9%에서 2000년 21.9%로 증
        가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여성가구주에서 여성이혼가구주의 경우 2000년 16.9%임.  여성가구주가
        빈곤에 처해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감안해 볼 때, 이혼가구주의 증가는 여성화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해줌.
        ? 한국의 경우 이혼, 사별로 인한 저소득 모자가족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있지만(장혜경,2002, 박영
        란 외,2003), 이혼 전후의 사회경제적 지위변화를 접근한 종단적 자료의 부재로 인해 이혼을 경험한
        여성 및 여성가구주의 가구 소득수준과 사회적 지위변화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찾아보기 힘듬.
        ? 이혼 후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를 단순하게 평가하기는 어려움.  이혼이 불행한 결혼을 해결해 주
        는 방안이기도 하지만,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혹은 심리적 안정성을 가져다주지 못할 경우,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기 때문임. 특히 이혼 후 자녀 양육은 여성의 빈곤화 현상을 가중시키는 중요한 요인
        이 되고 있음(장혜경 외, 2002). 그러므로 여성이 자녀를 양육하기 원할지라도 책임질 수 없어 결국은
        포기하게 됨.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원가족의 지원도 심리적,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지만, 원가족
        의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도 찾아보기는 힘듬.
        ? 지금까지의 여성가구주의 경제적 수준을 분석한 선행연구를 보면 몇 가지 한계점이 있음. 첫째, 여
        성가구주 가구를 동질적인 집단으로 간주해 여성가구주 가구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를 고찰했다는
        점임. 둘째, 여성가구주 가구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명목소득을 중심으로 파
        악함으로써 가구규모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했음. 셋째, 접근가능한 종단적 자료의 부재로 인해 양부
        모 가구에서 여성가구주 가구로 변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득수준 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는
        점임. 따라서 여성가구주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변화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저소득여성가구주
        가구에 집중하고 있어, 여성가구주 가구 집단내의 다양성이 반영되지 못했다는 점임.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을 전후로 한 여성가구주의 사회경제적 변화를 소득수준의 변화,
        사회적 연결망의 변화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탈빈곤화를 위한 정책을 개발하는 데 있음. 또한 이혼
        후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에 대한 종단적(패널)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함. 이혼 후 여성
        의 빈곤화 추이 분석을 위한 패널연구의 전초작업으로서 연구의 틀과 통계적 틀을 마련하고자함.

        ▣ 연구방법

        (1) 문헌연구: 이혼관련, 여성의 빈곤화 관련 국내외 문헌연구
        (2) 심층질문지조사: 150사례
            이혼(별거)후 6개월, 1년, 3년 이내 여성(재혼여성 제외) 각각 50사례(50 *3=150사례)
        (3) 질문지 조사의 통계분석
        (4) 관계 전문가 워크숍 및 자문회의

        ▣ 주요 연구내용

        (1) 이혼과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변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2) 이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 교육수준, 취업상태, 연령, 자녀의 수, 부양자녀의 수, 부양하지 못하는 이유
        (나) 경제적 특성
            - 취업상태
            - 소득수준, 소득 대 욕구비율, 가구소득(근로소득, 부동산과 동산소득을 포함하는 자산소득)
            - 공적소득이전(공공부조와 사회보험)
            - 사적소득이전(부양료, 원가족으로부터의 도움)
            - 부채 여부
        (3) 이혼을 전후로 한 소득활동의 변화
        (가) 가구규모의 차이에서 오는 규모의 경제의 차이
        (나) 이혼전후의 취업활동의 변화
        (다) 이혼 전후의 가구의 소득구성 변화
            - 소득의 변화
            - 공적이전소득(기초생활보장제도에 의한 생계비 혹은 자립자활)
            - 사적이전소득(자녀양육에 따른 양육비 수급 여부)
        (4) 이혼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
        (가) 사적 연결망
            - 일상적 활동의 연결망(경제활동, 문화활동, 여가활동, 종교활동)
            - 도움 필요시의 연결망(일상적 도움, 경제적 도움, 심리적 도움, 위기시 도움)
        (나) 공적 연결망
            -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
        (5) 정책제언

        ▣ 기대효과

        (1) 이혼 후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 과정의 분석을 통하여 이혼 여성의 탈 빈곤화 정책에  기여
        (2) 이혼 후 여성의 사회적 지원망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사회활동의 저해가 되는 요인을 찾아내어,
        보다 활발한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
        (3) 이혼 여성의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한 패널자료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