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 여성인적자원 개발현황과 정책과제 - 이공계열을 중심으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신선미 연구기간 2004-01-01 ~ 2004-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전문대학 이공계열 여학생의 직업교육경험과 직업세계 진출 단계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여,
           전문대학수준의 여성 기술인력 양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개발한다.

        ? 2001년 발표된 정부의 ?국가인적자원개발계획?은 지식기반산업분야로의 여성 진출을 위하여,
          과학기술 및 공학과 같은 비전통적인 진로로 여학생들을 유도하고 있음.

        ? 전문대학 수준에서 여학생들을 이공계로 유도하고 이들이 전공분야 기술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
          록 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의 이공계열 직업교육과정과 취업준비 단계에서 여학생들이 겪는 어려
          움을 파악하여 지원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  

        ? 4년제 대학 수준에서는 공학분야 여성고급인적자원 개발에 관한 연구(민무숙 등, 2002)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전문대학 수준에서 중견기술인으로서 여성인적자원 개발의 실태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고 이에 대한 정책개발이 매우 미흡한 상태임.

        ? 2003년 현재 전문대학 재학 여학생은 33만 5천이며, 이중 약 23%인 7만 8천명이 공업계와 자연계에
          재학하고 있음. 두 계열의 여학생 비율은 각각 13.5%와 37.9%이며, 이는 다른 전공 계열에 비하여
          월등히 낮음.

        ? 전문대학 이공계 출신 여학생의 취업률은 77.2%로 여학생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범계와 사회계
          의 여학생 취업률(각각 89.4%와 80.7%)에 비하여 낮으며, 성별에 따른 취업률의 격차(6.3% 포인트)
          도 다른 계열에 비하여 가장 높음.

        ? 최근 실업계 특별전형이 늘고 있고, 특히 공업계 여학생들의 진학비율이 상업계보다 높아 이들의
          전문대학적응 및 연계교육(2+2체제 등)에 대한 효과를 인문계 및 상업계 졸업자와 비교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음. 

        [ 연구내용 ]

        (1) 이론적 논의
          (가) 과학기술 및 공학분야로 여성 진출의 필요성
          (나)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위상과 여성교육
          (다) 외국의 중견 여성기술인력 양성정책
        (2) 전문대학 이공계열의 여성 인력 양성 실태
          (가) 직업교육정책과 전문대학 추이
          (나) 이공계열 여성 인력 양성 규모의 변화
          (다) 이공계열 여자 졸업생의 진로 실태 변화
        (3) 전문대학 이공계열 여학생의 교육경험 조사 
          (가) 전문대학 이공계열로의 진로 선택 과정
          (나) 세부 전공별 교육경험 및 만족도
          (다) 직업교육환경(산학협동 및 실습교육 등) 평가
          (라) 진로(편입학 등) 및 취업계획 및 준비도
          (마) 고교 계열별(인문/실업) 교육경험 및 교육성과 차이(2+2체제 평가)
          (바) 전문대학의 진로-취업 정보제공 및 상담 경험 및 만족도
        (4) 전문대학 이공계열 여자졸업자의 직업세계 진출 실태
          (가) 노동시장 진입과정
          (나) 취업에 대한 학교교육의 유용성
          (다) 현 직무의 문제와 전공간의 연계
        (5) 전문대학 이공계열의 여성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정책과제
          (가) 기본방향
          (나) 정책과제

        [ 연구방법 ]

        (1) 문헌연구 및 자료수집
        (2) 통계자료 재분석(패널자료 재분석: 중앙고용정보원 또는 직능원자료)
        (3) 전문대학 재학생 조사
          (가) 질문지 조사(약 1,000명) : 이공계열 2학년 남녀 재학생
          (나) 면담조사(약 50명) : 대학관계자, 학생, 기업체 인사담당자
        (4) 관계전문가 회의

        [ 정책적 기대효과 ]

        (1) 전문대학 이공계열 여학생의 직업교육실태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가) 전문대학 이공계열 여학생들의 교육문제 및 요구도 파악
          (나) 전문대학 이공계열 여학생들의 직업교육 효과 파악
        (2) 전문대학 이공계열 직업교육을 위한 정책 자료 제공
          (가) 전문대학 여학생들의 직업능력 향상방안 제시
          (나) 전문대학 여학생들의 취업이행 지원 방안 제시
          (다) 실업고-전문대의 연계강화 방안 제시
        (3) 전문대학에 여학생 지원서비스 및 프로그램 정보 제공
          (가) 전문대학 관계자들에게 여성인력의 문제 환기
          (나) 전문대학 교수 및 취업부서 담당자들에 대한 정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