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계 여학생의 직업세계 이행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민무숙 연구기간 2003-01-01 ~ 2003-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그동안 고등학교 단계의 여성직업교육에 대한 꾸준한 정책제안의 배경에 힘입어 여학생이 80%가까
        이 점유하였던 상업계 학교는 지식기반산업의 변화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학과를 개편하거나 정보통신
        분야의 학교로 전환되어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으며, 80년도에 3.3%에서 불과하던 공업계 고교 여학
        생의 비율이 2001년도에는 11.6%까지 증가함으로써 여학생의 비전통적인 전공으로의 유도를 꾀하는
        등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실업계 졸업 여학생들의 직업교육
        효과에 대한 믿음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실업계 학생들의 진학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실업계 교사들은 실업계
        고교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실업계 고교 졸업 후 취업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라고 보고 있다(이종성 외, 2000). 교육인적자원부에서도 2001년도에 실업계 고교의 취업지도를
        활성화하고 산학협동을 강화하기 위하여 실업계고교 진로정치 시범학교를 지정하여 3년 동안 매년
        1,000만원씩 16개 학교에 지원한 바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계속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정책과 함께,
        여전히 실업계 고교를 졸업한 기능인력을 필요로 하는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이루어진 실업계 여학생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상업계 여학생들에 치중되어 왔으며, 그 중에
        서도 학교 교육과정중의 교육경험 분석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져왔고 이들의 직업세계로의 안착과정
        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실업계 여학생들의 순수취업률은 특정계열을 제
        외하고는 희망자 대비로 보면 90%이상으로 높지만, 이러한 취업의 양적 지표가 얼마나 질적인 내
        용을 담보할 수 있는지는 의문인 상태이다. 이들이 졸업 이후 직업세계로의 이행과정에서 어떠한
        취업지도를 받고, 어떠한 문제를 가지고 노동시장에 안착하거나 탈락하는지, 그리고 누가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기 때문이다.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취업
        지도가 여전히 단순한 물량적인 측면에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점도 이러한 배경에 기
        인하는 것이다. 국가적으로는 여성인적자원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높은 상황
        이지만, 실업계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학생들의 인적자원개발의 효과성과 지속적인 능력개발 기회
        제공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하겠다.
        이제 과거와 달리 공업계 고교로 진학하는 여학생들의 비중도 커졌으며, 상업계 고교 학생들의 전공
        분야도 정보통신분야로 다양화되어져 이들에 대한 취업지도 및 교육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
        계열별로 분석되어지고 문제가 파악되어야 할 시점이다. 실업계 여학생들이 직업세계로 효과적으로
        이행하고 안착할 수 있는 지원방안과 향후 이들에 대한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
        기 위해서는 재학중의 취업준비과정 뿐만 아니라 졸업 직후의 취업 이행과정과 그 이후 안착과 이
        동과정, 노동시장에서의 탈락요인 등에 대한 연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배경으로 실업계 졸업 여학생들의 직업세계로의 이행과정에 대한 추적
        조사를 통하여 취업준비와 이행과정 및 결과의 일련선상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와 관련요인을 분석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실업계 고교에는 취업지도에 대한 개선자료를 제공하고 담당부처에게는
        계열별 직업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하며, 종국적으로는 여성 취약집단의 인적자원 활용을 최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연구내용 ]

        (1) 실업계 여학생들의 직업세계 이행의 관련변인 분석
        (2) 실업계 여학생들의 직업세계 이행과정 및 변화 분석
        (3) 실업계 여학생들의 직업세계 안착의 계열별 장애요인 파악
        (4) 실업계 여학생들에 대한 취업지도의 문제 분석
        (5) 실업계 여학생 직업교육 개선 방안 추출

        [ 연구방법 ]

        (1) 문헌연구 및 자료수집
        (2) 교육통계 원자료 분석
        (3) 실업계 여학생(상고, 공고) 졸업자 1,000명에 대한 추적조사
        (4) 실업계 고교 교사 및 기업체 담당자 면담 실시
        (5) 실업계 졸업 여학생에 대한 추적 면담 실시
        (6) 전문가 협의회 및 워크숍

        [ 정책적 기대효과 ]

        (1) 취약계층 여성인적자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위한 자료 제공
        (2) 실업계 여학생 직업이행에 관한 기초자료 축적
        (3) 실업계 학교에게 여학생대상 취업지도 개선 자료 제공
        (4) 여성 직업교육정책 방안 자료 축적
        (5) 실업계 여성졸업자 교육훈련 개선 자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