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여성통계조사 연구
        구분 수시 상태 완료
        담당자 김태홍 연구기간 2003-03-01 ~ 2003-12-01

        ◎ 의뢰기관 : 경기도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유엔의 세계여성회의는 성 인지적 통계 개발의 필요성을 국제적으로 확인한 중요한 계기가 됨.
        이 회의의 행동강령 제161절에서 제173절까지는 '조사연구, 자료수집과 분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제161절에서는 모든 분야에서 여성의 상태에 대한 국내, 지방, 국가간 차원의 조사연구와 자
        료수집 및 분석에 우선권을 둘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적절한 자료와 통계가 사람들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기본적인 사회, 경제적 변화에 영향을 주고, 정책을 형성하고, 진전사항을 평가하는데
        필수적이라고 봄.

        우리나라도 여성정책 수립 및 점검에 통계 생산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인식하여, 여성발전기본법
        제13조에 '효율적인 여성정책의 수립을 위하여 여론조사, 성별 통계작성 등을 통하여 여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라고 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행정자치부가 지방자치단체 여성정
        책에서 통계 생산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인식하여, 지방자치단체 여성정책평가의 평가항목의 하나로
        통계생산을 포함시키고 있음.

        경기도는 여성정책의 주류화라는 세계적 흐름에 발맞추어 구조조정이란 어려움 속에서도 여성정책
        을 담당하는 여성정책국과 여성국을 신설하고 경기도여성발전기본조례를 제정하여 여성발전의 제도
        적 기반을 마련하였음. 또한 2000년에는 경기도의 여성현황과 정책 수립 및 점검에서 통계가 차지하
        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경기 여성통계연보'를 발간하여 경기도 여성현황파악과 여성정책의 기초 통
        계로 활용하고 있음.

        그러나 2000년에 발간된 경기여성통계는 남녀 현황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경기도의 조사통계 및
        행정통계 중에서 생산이 되지 않아서 수록되지 않은 통계가 다수 있고, 또한 경기도 전체 통계 위
        주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경기도의 시·도별 남녀 현황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음. 이에 따라 급
        격히 변화하는 경기도 여성현황과 정책 효과, 시·군별 여성의 현황과 정책 개발 및 효과를 파악
        하는데 한계가 있음.

        이에 따라 경기도의 여성 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여성정책 수립과 점검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여성통계시스템의 구축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 통계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성인
        지 통계구축을 위한 기초연구와 경기여성통계의 수집이 선행되어야 할 것임.

        그리고 이러한 작업이 완료되면  신속한 여성통계의 갱신과 보급, 통계에 대한 접근을 언제, 어디서
        나 가능하도록 웹을 통한 여성통계정보시스템의 구축이 바람직할 것임. 본 연구는 이러한 경기여성
        통계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1차 작업으로써, 성인지적인 관점에서 경기여성통계에 대한 분석과 함
        께 여성통계연보를 발간할 것임.

        [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가. 경기여성통계구축
           ① 도「경기여성통계(2000)」의 갱신
              - 인구, 가족, 교육, 경제활동 등 기 개발된 경기여성통계의 갱신과 수정
           ② 시 군별 여성통계 구축
              - 경기도 내 시 군별 통계를 수집 및 생산
              - 인구, 경제활동 등 수집 가능한 자료를 중심으로
           ③ 도 및 시 군별 성별의 행정통계 생산 및 구축
              - 시 군별 성별 행정통계 구축
              - 성별 행정지표개발 및 통계생산

        나. 체계적인 성별통계 생산방안 연구
           ① 경기여성통계의 체계적 생산 및 정책연구
              - 기존 통계의 체계적 생산 및 정책 연구
              - 생산해야 할 성별통계 및 생산방안
           ② 경기행정통계의 성 인지적 작성방안에 대한 정책제언

        다. 성 인지적(Gender Sensitivity)인 경기도 통계 분석 
           - 경기도의 조사 및 행정 통계의 성인지적인 분석

        라. 체계적 성별통계생산 방안 연구
           - 여성통계의 체계적 생산 및 정책 연구
            ·기존 통계의 체계적 수집 및 갱신방안
            ·생산해야할 성별 조사 및 행정 통계 및 생산방안
           - 조사 및 행정 통계의 성인지적 작성방안에 대한 정책제언


        [ 연구의 기대효과 ]

        - 경기도의 성별통계의 체계적인 구축으로 경기도 정책입안자, 연구자 및 일반 시민들이 언제, 어디
          서나 여성통계를 입수가 가능하게 됨.
        - 경기도 여성통계정보시스템이 구축되면 정기적으로 통계를 갱신(update)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최신의 여성통계 입수가 가능해지며, 정보시스템이 통일적으로 관리됨에 따라 통계정보관리의 효
          율성이 제고될 것임.
        - 경기도 여성정책의 수립 및 정책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조사 및 행정통계 생산 기반이 구축되면
          각종 여성관련 정책 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여성정책의 실효성 및
          효율성이 제고될 것임.
        - 경기도 시, 군별 여성통계 DB 구축이 완료되면, 시·군의 특성을 감안한 여성정책의 수립 및
          집행이 가능하게 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