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유희정 연구기간 2004-01-01 ~ 2004-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보육이 활성화되면서 보육서비스의 질적수준을 높이고자 하는 요구 및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보육서비스의 질적수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육교사 요인임. 그러나 아직까지 보
          육교사 관련 제도가 정비되어 있지 못하고 보육현장에서는 보육교사들의 업무 과중 등으로 이직율
          이 높은 점등 보육발전에 저해가 되고 있음. 따라서 보육교사들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모색,
          정책제안하고자 함.

        ? 영유아의 잘 자랄 권리 보장, 여성 및 남성의 사회참여 지원, 안정적인 가정생활 구축 지원 등의
          관점에서 세계 각국은 보육정책을 자국의 우선 정책화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동일함.

        ? 보육활성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자 정부는 젊은 맞벌이 부부의 육아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 노동부, 여성부가 참여하여 범정부적 차원의 종합적인 “보육사업 활성화 방안”
          을 발표함(2003. 3. 6).

        ? 새 정부는 보육료의 50% 지원 등 보육정책의 활성화를 제시한 바 있음.

        ? 2002년 말 현재 보육시설은 22,147개소로 영유아 800,991명이 94,383명의 보육교사에 의하여 보육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음.

        ? 현재 우리나라는 보육현장에서 제공되고 있는 보육서비스의 질적수준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임. 또한 보육이 과거 저소득층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면 현재는 보육요구의 증가와 함
          께 중산층 이상의 부모들이 보육시설을 이용하면서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요구하고 있음.

        ? 선행연구에 의할 때 보육의 질은 보육효과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 보육의질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는 보육운영과 관련한 법?제도, 보육 프로그램, 보육교사, 보육환경 구성을 포함한
          보육시설 운영관리 요인임. 이중 특히 보육교사의 자질 및 전문성은 보육의 질적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임이 강조되고 있음(양연숙, 조복희, 2001; 유희정, 1997, 1998, 2000; 이은해, 이기숙,
          1994; 민송이, 1994; 곽주영, 1996;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1; Burchinal, 1997;
          Howes et al., 1994; Howes, 1992: Phillipset al., 1987; McCartney et al., 1982). 

        ? 그러나 우리나라의 보육교사들의 근무실태는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낮은 보수, 과
          중한 업무, 신분보장이 되지 못하고 있는 점, 전문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는 점 등임.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관련 법?제도를 살펴보고, 각각의 시설에서 보육교사들이 어떤 업
          무들을 담당하고 있으며, 실제적으로 어떤 어려움들을 겪고 있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
          하여 어떤 요구를 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함. 조사의 결과에 근거하여 보육교사 전문성 향상 방
          안을 정책 제안하여 보육현장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함.

        [ 연구내용 ]

        (1) 보육교사 관련 법·제도 분석
          (가) 보육교사대 영유아 비율
          (나) 보육교사 양성 및 자격과정
          (다) 보육교사 보수
          (라) 보육교사 지원현황
        (2)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관리 실태 분석 비교
          (가) 보육교사 모집실태
          (나) 보육교사 운영 및 관리실태
        (3) 보육교사 직무분석 : 지역별, 시설유형별, 프로그램 유형별, 영유아 연령별
        (4) 보육교사의 만족 및 요구도 분석 : 지역별, 시설유형별, 프로그램 유형별, 영유아 연령별
        (5) 외국의 보육교사 관련 제도 비교
          (가) 보육교사대 영유아 비율 비교
          (나) 보육교사 양성 및 자격과정 비교
          (다) 보육교사 지원현황 비교
        (6) 보육교사 전문성 향상 방안 제시
        (7) 보육교사 운영관리 효율화 방안 제시

        [ 연구내용 ]

        (1) 문헌연구 및 자료수집
        (2) 관련 조사 실시
          (가) 보육시설 조사 : 1,000개소(지역별, 시설유형별, 프로그램 유형별, 영유아 연령별)
          (나) 보육교사 조사 : 1,000개소(지역별, 시설유형별, 프로그램 유형별, 영유아 연령별)
          (다) 보육교사 면담 및 관찰 : 32명(지역별, 시설유형별, 프로그램 유형별, 영유아 연령별)
        (3) 보육교사 워크숍 개최(8회)
        (4) 전문가 협의회 개최(5회)

        [ 정책적 기대효과 ]

        (1) 보육교사 관련 제도 정비
        (2)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
        (3) 보육현장의 보육서비스 질적 수준 향상
        (4) 보육수요자의 만족도 향상
        (5) 정책담당 부서의 효율적인 보육업무 수행 지원
        (6) 부모들의 취업활동 지원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