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여성발전전략으로서의 평화문화에 관한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정순영 연구기간 2003-01-01 ~ 2003-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평화문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는 정책적 측면에서 무엇보다도 ‘법과 현실간 괴리’ 문제로부터 제기된
        다.
        한국은 80년대 후반이래 전통사회로부터 내려온 여성차별적 법 조항들을 시정하고 여성발전을 위한
        제반 조치들을 규정한 여성발전기본법을 제정하는 등 성 평등을 향한 법적 개혁을 꾸준히 추진해 왔
        다.
        이는 정부, 시민사회와 여성단체, 유엔을 중심으로 한 국제여성협력이 다같이 이루어 낸 결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 개혁은 불행하게도 가부장적 문화가 지배하는 풍토 속에서 제대로 효력을 발휘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법과 현실간 괴리라는 이 같은 문제가 보여 주는 것은 문화적 풍토가
        변화하지 않는 한 진정한 성 평등은 실현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즉 법적 개혁 후에 당면한 최대의
        문제는 전통적 문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항대립으로부터 양성적 통합
        으로 의식구조를 바꾸어야 한다.  여기에 평화문화의 과제가 있다.  개인이거나 집단이거나 갈등은
        궁극적으로 통합된 정신상태인 평화문화 속에서 해소된다.  남녀문제도 이에서 예외가 아니다. 평화
        를 일구어 내는 정신으로서 평화문화는 양성적 통합의 전제조건인 것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또한 국제협력의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평화를 3대 의제의 하나로 채택한 70년
        대 이후의 세계여성대회 과정은 북경대회를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평화의제를 인간안보를 실현하기
        위한 문화의 문제로 제기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평화문화는 성 주류화와 함께 21세기 여성발전
        전략의 기본노선으로 부상하고 있다.  평화문화가 이와 같이 21세기의 전략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은
        지식기반문명과 연관된다.  전통시대나 산업시대에서는 남녀사이의 육체적 조건의 차이가 성 역할
        에 편견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지식의 힘이 주도하는 정보화문명에서는 지식경쟁의 성 중립성으로 인
        하여 성 역할에 있어 근본적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정보화 혁명과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
        로 마침내 인류문명은 성차별을 강요하는 사회경제구조의 질곡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
        같은 기대가 ‘긍정적 구조 하에서의 문화적 접근의 현실성’이라는 인식을 태동시킨 것이고 이것이
        UNESCO를 중심으로 한 평화문화 프로그램이 설득력을 갖게 한 배경이다.  한국의 여성정책이 상당
        부분 국제협력 체제와의 공동보조 속에서 수행되어 왔다는 점에 비추어 유엔여성활동에서 21세기적
        프로젝트로서 새로운 주축을 형성하고 있는 평화문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정책당국의 이론
        과 실행방안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있다.

        [ 연구내용 ]

        (1) 평화문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가) 평화의 정의에 대한 이론적 전개
        (나) 평화에 대한 문화적 접근 이론
        (2) 유엔을 중심으로 한 평화문화활동
        (가) 유엔 초기 군사안보적 차원에서의 평화의 정의
        (나) 세계여성대회과정의 평화의제 채택과 인간안보적 관점으로의 발전
        (다) 성 평등 전략개념으로서의 평화문화 등장
        (라) 실행방안에 대한 논의와 권고
        (3) 관련 실무분야 종사자 심층면담
        (4) 정책제언

        [ 연구방법 ]

        (1) 문헌연구
        (2) 사례 비교분석
        (3) 관련실무자 심층면담
        (4) 전문가 자문회의:  2회
        (5) 국제심포지엄 개최

        [ 정책적 기대효과 ]

        (1) 국제여성발전전략으로서의 평화문화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제고
        (2) 사회 각 부문에서 평화문화 실행 정책방향 제시
        (3) 국제적 차원의 협력네트워크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