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노인의 세대갈등 현황과 통합방안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이수연 연구기간 2010-01-01 ~ 2010-12-31

        ▣ 연구책임자
            이수연 연구위원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05년 기준 한국의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는 약 438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9.1%를 차지하며, 2050년에는 38.2%에 달할 것으로 추계됨.  
           ○2005년도 인구센서스 조사결과에 따르면, 60세 이상 가구는 총 15,887,128가구 가운데 3,564,502로 22.4%이며, 55세-59세의 가구 1,338,332를 포함할 경우 전체 가구의 30.8%에 해당. 이들 노인가구주 가운데 유배우 가구는 61.5%(55세 이상인 경우 전체 가구의 66%가 유배우, 미혼 0.5%, 사별 35.7%, 이혼 2.2%로 구성.
           ○가족 주기상 노인기는 자녀의 출가와 은퇴를 경험하면서 경제적 지위와 가족관계가 변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급속한 사회변동으로 가족내 세대차이가 증가함으로써 가족갈등의 유경험율은 증가.
            -직장이나 일로부터의 은퇴와 자녀 출가, 혹은 배우자의 사별 등으로 가족에 대한 기대와 역할이 변화하게 됨. 가족의 축소나 가족관계의 상실, 자신의 노화에 대한 수용, 부양자 혹은 돌봄 노동 제공자에서 피부양자 혹은 돌봄 대상자로 전환하면서 가족관계의 변화와 갈등을 경험하고, 이는 노인 삶의 만족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자녀세대와는 가족에 대한 기대와 행위양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이견을 보여줌으로써 상호 역할긴장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음.뿐만 아니라 손자녀양육이나 부모 부양을 둘러싼 견해 차이는 가족내 세대갈등의 주요인인 된다는 점에서 향후 이에 대한 논의 진전이 요구됨.
            -그러나 노인 삶의 질에서 있어 가족관계의 중요성은 이미 기존 연구결과를 통해 지적된 바 있음(김윤정 외, 2008; 김기태 외, 2005; 김은경, 2002).
            -선행 연구결과에 따르면 60세 이상 남녀노인 10명 가운데 8명 이상이 자살충동을 느끼고 있으며, 건강악화와 가족갈등, 고독감 등이 그 이유로 나타남(서회정, 2005). 특히 노년기 우울감은 부양자가 누구인가와 가구 및 결혼형태 등 가족관련 변인의 효과가 크게 나타남(여인숙?김춘경, 2005)

         □ 노인정책은 주로 기초노령연금이나 장기요양보험 등 소득보장방안이 핵심적임. 그러나 노년의 심리적 복지와 삶의 질에 있어 가족의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향후 노인의 가족관계를 지원하거나 대안적인 지원기능에 대한 정책발굴이 요청됨.
           ○이에 본 연구는 노인세대의 가족갈등경험을 살펴보고, 신구 세대갈등의 해소방안을 제안할 것임.
            -특히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성별에 따라 가족관계 및 갈등경험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할 것임.
            ㆍ급속한 노령화에도 불구하고 노인인구 10명 가운데 6명(61.8%)은 자녀와 함께 살지 않으며, 앞으로도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는 응답이 절반을 상회(통계청. 2008)하고 있다는 점에서 노인의 가구형태와 이에 따른 가족관계의 변화는 매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것임.
              ※08년 11월 25일 발표된 사회조사결과'에 따르면, 부모의 노후생계는 자녀 도움 없이 스스로 해결하는 경우가 46.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 생활비 제공자는 가족과 정부·사회가 같아 돌봐야 한다'는 견해가 43.6%로 '가족'(40.7%)이라는 응답을 앞지르고 있음(통계청, 2008).
            ㆍ노인단독가구의 비율은 2000년 24.4%에서 2005년 29.4%로 증가하였음(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특히 전체독거노인의 80%내외가 여성이라는 점에서 노인의 성별에 따른 정책적 함의 또한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성별에 따른 가족관계와 갈등경험의 차이를 분석할 것임.
              ※현재 노인들은 남녀의 차이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차별적 행동에 익숙한 세대라는 점에서 노년기로의 전환이 갖는 성별 함의는 매우 중요함. 실제로 여성노인의 경우 손자녀돌봄으로 인한 갈등 가능성이 내포되어있음에 비해 남성노인의 경우 가족의 대표권이나 부양자 위치 상실과 연관된 갈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음.
            - 30-40대 성인기 자녀세대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부모세대와의 갈등이슈진단과 효과적인 갈등해소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ㆍ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증가하면서 30-40대의 자녀세대 역시 가족의 형성과 유지의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부모세대와 기대격차에서 오는 가족갈등의 경험의 진단과 갈등해소방법을 조망함하기 위해서는 세대비교가 중요함.

         

        ▣ 주요 연구내용

         □ 노인과 노인 가족 및 세대갈등, 노년기 삶의 질에 관한 이론적 논의
           ○ 노년기나 노인 가구의 정의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준은 생물학적 ‘연령’이외지만, 적용되는 기준연령은 다소 모호.
            ※ 노인복지법 또는 국민기초생활보호법의 경우, 60세 이상을 고령자로 규정, 국민연금법의 의거한 노령연금 역시 60세 이상일 때 지급. 그러나 고령자고용촉진법에서는 55세 이상자를, 고용보험법은 65세 이상, 통계청의 인구추계조사는 65세 이상인구를 노인인구로 정의
           ○ 노년기 가족과 가족내 세대갈등에 관한 다양한 국내외 이론적 논의
             - 노년기 가족의 특성, 노인의 가족에 대한 기대와 노년기 가족관계의 범주, 가족관계의 변화와 노인의 삶의 질 등
           ○ 노인 삶의 질 제 차원 및 지표에 대한 이론적 논의

         □ 노인의 가족관계 특징과 가족기능 변화
           ○ 노인의 부부관계, 배우자 부재로 인한 노인 삶의 질
             - 노인의 가구 및 부양형태, 성별, 사회계층에 따른 부부관계의 특성 및 만족도
           ○ 노인의 부부관계 및 친족관계: 가족관계의 횡적 특성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족관계의 기능적 측면을 고려하여 다차원적으로 분석. 즉 가족관계의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기능적 측면을 분석함.
           ○ 노인의 삶에 있어 성인기 자녀의 의미와 관계변화
           ○ 노인의 삶과 가족의 기능

         □ 노인의 가족갈등경험에 관한 분석
           ○ 은퇴/와병/배우자 사별이라는 생애사건과 이로 인한 가족관계 및 역할 변화, 그리고 이로 인한 갈등요인 탐색
             - 손자녀 돌봄이나 노인세대 부양을 둘러싼 가족갈등
             - 남녀노인의 가족갈등 경험에서의 성별 차이분석
           ○ 가족관계와 갈등경험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 노인의 가구 및 부양형태, 성별, 사회계층에 따른 가족갈등 경험 분석
           ○ 성인기 자녀세대의 관점에서 본 부모세대와의 갈등
             - 자녀세대 관점에서 본 부모세대의 갈등이슈
           ○ 사회정서적 관계망과 노인의 삶의 질
             - 노인의 성별, 가구 및 부양형태, 사회계층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
           ○ 가족기능의 보완재로서 사회적 관계망의 효과

         □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삶의 질
           ○ 가족관계 이외의 사회·정서적 관계망의 종류와 참여도
           ○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가족갈등: 가족기능의 보완재로서 사회관계망 효과
           ○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삶의 질

         □ 노인의 가족 및 세대갈등 해소방안
           ○ 노인의 가족갈등 완화 및 노인가족지원방안 제안

         

        ▣ 기대효과
         □ 가족정책의 범주에서 제공할 수 있는 노인서비스 정책 마련
         □ 남녀노인의 성별 특성에 따른 지원정책 방안 제시
         □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필수사업인 가족주기별 가족관계교육의 주요 콘텐츠와 가족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
         □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노인정책, 여성(노인)정책의 근거자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