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무원의 남녀평등의식 현황
        구분 수시 상태 완료
        담당자 김양희 연구기간 1999-11-01 ~ 1999-12-01

        가. 연구목적
          정부의 정책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남녀평등한 의식을 갖는 것은 정책과 행정
        서비스의 성 공정성(gender equity)을 담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건임은  두말할 필
        요가 없다. 더욱이 우리사회에서 여성정책의 주류화가 강조되고 의식과 생활속에서
        전근대적이며 비합리적인 요소를 개선하기 위한 광범위한 움직임이 있는 이 시점에
        서 공직사회의 의식 개선을 도모하는 일은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여성정책국의 의뢰로 도내 공무원의 남녀평등의식 실태를 파악하여  성차별
        적인 고정관념을 없애고 남녀 평등한 의식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도 및 시/군별, 성별, 연령별 남녀평등의식 의식 파악
            (나) 전국 규준과의 비교 분석
            (다) 경기도 공무원의 남녀평등의식 제고를 위한 제언
          (2) 연구방법
             자기기입식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를  분석 - 설문지는 1999년 한국여성개발원
           에서 개발한 '한국형 남녀평등의식 검사도구(김양희, 정경아, 1999)'를 사용하였음.

        다. 연구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에 참여한 이들은 경기도내 공무원 총 671명으로,  이 중 도청에 근무하는
           공무원이 85명(12.7%), 시/군에 근무하는 공무원이 586명(87.3%)이었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189명으로  28.5%, 남성이  475명으로 71.5%,  무응답이 7명이었다.
           연령대별로 나누어 보면 30세 이하의 응답자가 141명으로 21.8%, 31세부터 40세
           까지의 응답자가 308명으로 47.5%였다.  41세  이상인 응답자는 199명으로 결측
           치를 제외한 전체 응답자  648명 중 29.7%를 차지하였다.   직급별 분포를 살펴
           보면 직급을  응답하지 않은  12명을 제외한  659명중에서 4급이  0.6%인 4명이   
           었고, 5급이 10.4%인  70명, 6급이 21%인  141명이었다.  7급이 29..4%인  197명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8급으로 24.3%인 163명이었다.  9급은 8.6% 58명이었
           으며 기능직도 4%인 26명이 응답하였다.
          (2) 성별 남녀평등의식(지면상 일부만 제시함)
             경기도 공무원의 평등의식 점수를 1998년에 조사한 전국규준점수(김양희, 정경
           아, 1999)와 비교하여  보았더니, 경기도 공무원들의  전반적인 남녀평등  의식이
           전국규준에 비하여 약간 높았고 모든 하위척도별  점수에서도 이번 조사 응답자
           들의 평등의식 수준이 높았다. 여성  응답자의 전체척도 점수가 약  23점 높은데
           비하여 남성은 약 8점  정도만 높아 남성의  남녀평등의식에서는 공무원과 일반
           성인 남성의 차이가 여성에 비해 작은 것을 나타낸다.
             평등의식은 응답자의 성에  따라 달랐다.  전체척도 점수를 보면  남성의 남녀 
           평등의식 점수는 216점인데 비하여 여성의 남녀평등의식 점수는 260점으로 여성
           이 남성보다 높은 평등의식을 갖고 있었다.  하위척도 별로 보면 직업생활 척도
           에서 그 차이가 가장  컸으며 사회 문화  생활 척도에서의 차이가 가장 적었다. 
           성별로 남녀평등의식 척도의 하위 영역들을 비교하여  보면 남성과 여성 응답자
           들이 비슷한 응답형태를 보였다.   즉, 남성과 여성 모두  교육생활 척도와 가정
           생활 척도에서의 남녀평등의식 수준은 높으나 이에  비해 직업생활 척도에서의
           남녀평등의식 수준이 떨어졌다.  또한 남녀 응답자 모두 사회문화생활  척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사회문화생활  영역에서의 남녀평등의식 수준이 가장 떨어
           졌다.  사회문화  생활영역이 남녀 모두 가장 점수가 낮은 영역이며 성별간 점수
           차이가 적다는 사실은 남녀의 사회적 행동규범이나  문화적 관행과 관련한 영역
           에서는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도 평등의식이 많이 개발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라. 기대효과
          경기도 공무원의  남녀 평등의식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며, 향후
        교육자료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정책의 성 주류화를 위한 기반 조성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