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성농업인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구분 수시 상태 완료
        담당자 김양희 연구기간 1999-04-01 ~ 1999-12-01

        가. 연구목적
          여성농업인들이 농업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이미 1960년대부터 현저히 증가해
        왔다. 1965년에는 전체  농림업 취업자 중  38.7%에 불과하던  여성의 비율이 70년  
        에는 42.2%, 80년 44.6%, 90년 47.2%로 늘어났으며 97년에는 농림어업 전체 취업자
        중 49.3%가 여성이다. 농업생산에 투입되는 노동력 비중에 있어서도  1975년 33.3%
        를  차지했던 여성의 비중이 1985년에는 42.8%, 1995년에는 48.2%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여성농업인의 농업참여가 증가하고 농업노동력으로서의 비중이 커지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여성농업인이 농업에 기여하는 바에 대한 왜곡된 인식은 여전  하
        며 농업종사자로서 실제 수행하는 역할에  비해 여성농업인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
        는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여전히 농업 보조자로, 단순노동만을 제공하는 주변적
        노동력으로 간주될 뿐이며,  전문적인 농업인력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여성 
        농업인 스스로도 영농종사자로서 의식이 부족하고 주체적이고 전문적인 영농인으로
        발전하기에는 지식과 기술의 측면에서도 여러 장애요인이 있다.
          최근 들어 농업의 환경적, 문화적 가치가 중시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농업생산자
        로서 뿐 아니라 소비자로서, 생활자로서 다양한 관점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여성
        농업인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시될 전망이다. 특히, 경기도 지역에서는 수도권
        시장과 가장 가까운 농업 입지적 장점을 충분히 살려 새로운 농업경영이 이미 확산
        되기 시작하였고 앞으로 그 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어서 여성농업 인력 육성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지역보다 시급하다고 하겠다.  새로운 농업환경에 걸 맞는 여
        성농업인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여성농업인이   이제까지 쌓아온
        자신의 경험과 노하우를 점검하고 새로운 경영 상황에  알맞은 자신의 역할을 파악
        하며 그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식을 갖추고 지식과   기술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업의 변화 속에서 여성농업인이  전문경영인으로서, 농촌사회의
        주역으로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인적 자원을 개발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고안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새로운  농업에 대한 전망을  갖고 농업경영인으로서의  직업
        의식을 확립하며,  실제 농업현장에서  여성농업인들에게  필요한 경영기술을  연마 
        하는 교육프로그램, 나아가 농촌사회의 주역으로서 각종 활동을 전개하는데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경기도 여성 농업인 현황
            (나) 경기도 여성농업인 교육현황
            (다) 여성농업인 전문 경영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요구파악
            (라) 여성농업인 전문교육프로그램 개발
          (2)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나) 관계자 면담 : 농업분야 연구자 및 교수, 농업교육기관 실무자 총 15명
            (다) 전문가 회의 : 경기도 여성정책국, 도  농업기술원, 농협경기지역본부, 한국 
              농업전문학교, 여성농업인단체 관계자
            (라) 여성농업인 설문조사 실시 : 경기도 여성농업인 총 591명
            (마) 시범교육 실시: 12월 7일∼9일간 2박3일 과정, 경기도 전역에  거주하는 여
              성농업인 32명이 참가

        다. 연구결과
          (1) 여성농업인전문교육 프로그램
              공통과정 : 여성농업인의 의식
                       ┌ 여성농업인의 역할과 지위
                       └ 농업과 여성농업인의 미래
              분야별 과정 :
                경영:┌ 기초과정: 경영마인드, 기본 개념, 정보접근, 의사결정
                      └ 전문과정: 농업경영 실무기법
                정책:┌ 여성농업인 정책 이해
                      └ 정책 접근 및 정책결정 참여
                리더쉽
              끼워넣기 : 여성농업인의 문화생활
                       ┌ 건강가족문화 만들기
                       └ 여성농업인 문화축제
          (2) 여성농업인전문교육 교재

        라. 기대효과
          (1) 여성농업인을 위한 기존의 교육현황은  물론 여성농업인 교육에 대한  전문가
            들의 의견을 파악
          (2) 여성  농업인들의  교육요구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여성농업인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3) 실제 교육요구에  기초한 전문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도내  농협 등  여성 
            농업인 사회교육기관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배포(경기도에서는 이미 본 연구결
            과가 2000년에 경기도내 농협을 통해 확산되도록 교육예산을 확보하였음)
          (4) 여성 농업인들이 전문농업생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기여
          (5) 궁극적으로는 여성농업인의 지위 향상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