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인지 통계정보 시스템 업그레이드 및 유지관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전기택 연구기간 2010-01-01 ~ 2010-12-31

        ▣ 사업책임자
            전기택 연구위원

         

        ▣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성별영향평가제도, 성인지예산제도 등 국가정책을 통한 남녀평등사회 구현과 정책품질제고를 위한 제반 제도의 본격적인 시행에 따라 성 인지 통계에 대한 정책적 수요를 충족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됨.
            ○성 인지(性 認知) 통계는 개별 차원(individual level)의 통계에서 남녀로 분리되어 있는 통계와 여성과 남성의 조건과 사회공헌, 남녀의 필요와 특수한 문제를 반영하기 위해 생산, 제시되는 통계 자료 일체를 의미함.
            ○성 인지 통계는 남녀간 차이의 제시, 남녀 불평등한 상황의 점검, 양성평등한 상태로의 이정표 역할, 양성평등정책의 효율성 제고라는 측면에서 사회적, 정책적 중요성을 갖음.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성별영향평가제도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시·도 교육청 등 참여기관 및 평가대상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동 제도 시행에 필요한 전문화된 성 인지 통계 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됨.
            ○특히 2010년 성인지예산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성 인지 예산 제도의 효율적 시행과 정착을 위한 성 인지 통계의 체계적인 생산과 보급이 선결 과제로 대두됨.

         □이에 본원의 성 인지 통계 정보에 대한 정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06~2008년 3개년에 걸쳐 「성 인지 통계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여 성 인지 통계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성 인지 통계 포털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1단계 사업을 완료하였음.
            ○1차년도인 2006년에는 ①전체 사업 기획, ②전국 단위의 성 인지 통계 DB 구축 및 ③성 인지 통계 정보 시스템 국문 웹 페이지 제작 등에 역점을 두어 사업을 추진하였음.
            ○2차년도인 2007년에는 지식정보자원사업 예산 등으로 ①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 성 인지 통계DB와 ②웹 및 DB 서버 도입 등을 통해 성 인지 통계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고, 본원이 기확보한 일반사업 예산으로는 ③기존 성 인지 통계DB의 지표 및 시계열 확장과 함께 ④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원시자료 아카이브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음.
            ○3차년도인 2008년에는 성 인지 통계정보시스템 서비스의 국제화를 위해 ①국제여성통계DB 구축, ②성 인지 통계DB 영문화, ③성 인지 통계정보시스템 영문 웹페이지 구축, ④ 국문 웹페이지 리뉴얼 및 기능 개선 등에 역점을 두어 사업을 추진하였음.


         □본원은 성 인지 통계 정보시스템 2단계 사업 추진 방향을 성 인지 통계 정보 시스템 확산으로 설정하고 2009년 이후 주요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2단계 사업 1차년도인 2009년에는 국문 웹페이지 리뉴얼 등을 통해 포털형의 성 인지 통계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해 ①성 인지 통계 정보시스템 통계DB 수정 및 갱신, ② 한국형 Gender Equal-X(KOGE-X) 지표 관리 등 웹 콘텐츠 강화, ③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 ④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유지 보수 사업을 추진하였음.

         □2010년에는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및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인지도 제고 및 서비스 연계를 통한 접근성 강화, 성 인지 통계DB 시의성 강화 및 서비스 시스템 안정적 유지 등을 통해 GSIS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시스템의 안정적 유지 관리함으로써 성 인지 통계 정보 수요 충족하고 활용도를 제고하여 GSIS를 확산하고자 함.

         

        ▣ 주요 사업내용

         □2010년 사업내용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I): 성별영향평가사업 지원을 위한 성 인지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개발
              -성별영향평가사업 필수 성 인지 통계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수요 조사 및 연구
              -성별영향평가사업 필수 성 인지 통계 정보 서비스 방안 마련
              -성별영향평가사업 지원용 성 인지 통계DB 및 서비스 시스템 구축
              -성별영향평가DB(여성부)와의 연계 서비스 강화
               ※ 성인지예산사업 지원용 성 인지 통계DB 구축 사업(2011년 예정)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일반 국민의 여성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킬러콘텐츠 개발 및 관리
              -GSIS 통계분석 기획, 작성 및 발표
               ※ 연구진 등 원내외 관련 분야 전문가 활용
              -한국형 Gender Equal-X(KOGE-X) 고도화 및 관리
              -지도로 보는 지역 성 인지 통계 관리
              -신규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
              -기타 웹 콘텐츠 생산, 관리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개발
              -사용자 집단별 여성 정책 통계 수요 조사: 여성정책 담당자, 전문 연구자 등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서비스 시스템 구축

            ○인지도 제고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
              -홍보물 제작 및 배포
              -성 인지 통계를 활용한 논문 및 정책기획서 공모전
              -성 인지 통계 정보시스템 개선 제안 공모
              -이용자 활용 실태 및 만족도 조사

            ○관련 사이트 및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
              -관련 부처, 연구기관, 지자체, 관련 사이트와의 연계 방안 검토
              -배너 교환 등을 통한 연계 서비스 강화

            ○성 인지 통계DB 시의성 강화
              -성 인지 통계DB 수정 및 갱신

         □2011년 사업내용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II): 성인지예산제도 지원을 위한 성 인지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개발
              -성인지예산사업 필수 성 인지 통계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수요 조사 및 연구
              -성인지예산사업 필수 성 인지 통계 정보 서비스 방안 마련
              -성인지예산사업 지원용 성 인지 통계DB 및 서비스 시스템 구축
              -성별영향평가사업 지원 서비스 시스템 확대(계속)
              -여성정책 현안 여론조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일반 국민의 여성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킬러콘텐츠 개발 및 관리
              -GSIS 통계분석 기획, 작성 및 발표
              -한국형 Gender Equal-X(KOGE-X) 관리
              -지도로 보는 지역 성 인지 통계 관리
              -신규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
              -기타 웹 콘텐츠 생산, 관리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확산 및 관리(계속)
              -2차 사용자 집단별 여성 정책 통계 수요 조사
              -2차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2차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서비스 시스템 구축

            ○인지도 제고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계속)
              -홍보물 제작 및 배포
              -성 인지 통계를 활용한 논문 및 정책기획서 공모전
              -성 인지 통계 정보시스템 개선 제안 공모
              -이용자 활용 실태 및 만족도 조사

            ○관련 사이트 및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계속)
              -관련 부처, 연구기관, 지자체, 관련 사이트와의 연계 확대
              -배너 교환 등을 통한 연계 서비스 강화

            ○성 인지 통계DB 시의성 강화 및 GSIS 시스템 안정적 유지(계속)
              -성 인지 통계DB 수정 및 갱신
              -H/W 및 S/W 유지, 관리

         □2012년 사업내용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III): 여성정책 현안 여론조사 시스템 구축
              -여성정책 현안 여론조사 시스템 기획 및 구축
              -여성정책 현안 여론조사를 위한 일반국민, 전문가 패널 구축
              -여성정책 현안별 여론조사 실시 결과 전달체계 구축
              -여성정책 관련 부처의 맞춤형 여론조사 시스템 구축
              -여성정책 현안 여론조사 시스템을 활용한 정책 개발
              -성인지예산사업 지원 서비스 시스템 확대(계속)
              -성별영향평가사업 지원 서비스 시스템 확대(계속)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일반 국민의 여성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킬러콘텐츠 개발 및 관리(계속)
              -GSIS 통계분석 기획, 작성 및 발표
              -한국형 Gender Equal-X(KOGE-X) 관리
              -지도로 보는 지역 성 인지 통계 관리
              -신규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
              -기타 웹 콘텐츠 생산, 관리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확산 및 관리(계속)
              -3차 사용자 집단별 여성 정책 통계 수요 조사
              -3차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3차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서비스 시스템 구축

            ○인지도 제고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계속)
              -홍보물 제작 및 배포
              -성 인지 통계를 활용한 논문 및 정책기획서 공모전
              -성 인지 통계 정보시스템 개선 제안 공모
              -이용자 활용 실태 및 만족도 조사

            ○관련 사이트 및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계속)
              -관련 부처, 연구기관, 지자체, 관련 사이트와의 연계 확대
              -배너 교환 등을 통한 연계 서비스 강화

            ○성 인지 통계DB 시의성 강화 및 GSIS 시스템 안정적 유지(계속)
              -성 인지 통계DB 수정 및 갱신
              -H/W 및 S/W 유지, 관리

            ○GSIS 정책 지원 역량 강화 및 고도화를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성 인지 통계 정보 시스템 업무 및 환경 분석
              -성 인지 통계 정보 시스템 현황 평가
              -성 인지 통계 정보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정보기술전략수립
              -성 인지 통계 정보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정보시스템구조 정의
              -성 인지 통계 정보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정보화실행계획수립

         

        ▣ 기대효과

         □성별영향평가제도의 효율적 시행
         □성인지예산제도의 효율적 시행
         □여성발전기본법, 통계법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 인지 통계 확산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