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박사 인력의 교육-고용 불일치 실태와 과제 - 녹색성장관련 전공과 기타 전공 간 비교 -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신선미 연구기간 2010-01-01 ~ 2010-12-31

        ▣ 연구책임자
            신선미 연구위원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여성 박사인력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의 취업실태에 관한 선행연구가 미흡함. 총량적인 인력수급 불일치만이 아니라 전공-직업 간의 불일치 및 하향 취업 문제가 중요함.
             ○국내 대학원 박사과정 여학생 비율이 1995년 22.0%에서 2008년 35.8%로 증가하였음. 국내 대학원에서 여성 박사학위 취득자 수는 1995년 692명에서 2008년 2,763명으로 증가하였고, 여성 비율은 16.8%에서 29.5%로 증가하였음.
             ○2008년 국내 일반대학원 신규 여성박사 중 82.5%가 졸업 직후 취업했으나(남성의 경우 88.0%), 취업자 중 40.3%가 비정규직임(남성의 경우 17.8%)(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연보 2008).
             ○2007년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여성의 63.9%가 박사과정 진학 시 교수가 되려는 동기를 가지고 있었으나, 졸업 후 취업자 중 대학 근무자(시간강사 포함)는 41.6%임. 남성의 경우 49.0%만이 교수가 되려는 동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졸업 후 취업처는 대학 외에 민간기업 취업자와 창업자 비중이 높음. 

         □특히 국가적으로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는 분야(예, 녹색산업 관련 전공분야), 여성 박사인력 배출 규모가 큰 전공분야와 지역, 여성 박사인력의 취업률이 낮은 전공분야와 지역을 중심으로 교육-고용 불일치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

         □국정과제인 “고학력 여성의 커리어개발지원” 대상을 현재의 4년제 대학 여학생에서 석ㆍ박사과정 여학생으로 확대가 필요함.  
             ○여성 박사인력에 관련된 정책으로 국공립 연구기관과 대학의 여성과학기술인 혹은 여성 교수 채용목표제가 있으나, 여성 박사인력의 증가에 따라 대학과 국공립 연구기관의 일자리만으로는 신규 여성 박사인력의 활용도를 높이기 어려움. 민간기업,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지방의회, 창업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인력활용이 요구됨. 
         
         □여성 박사인력의 교육-고용 불일치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인력양성 정책과, 교육-고용 불일치 상태에 있는 여성 박사인력의 활용도 제고 정책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주요 연구내용

         □국내 대학원 여성 박사인력 양성 현황
             ○전공분야별 학위취득자 수 추이
             ○박사과정 진학 동기, 연구 프로젝트 참여 경험, 학위과정 중 취업경험
             ○대학별, 전공별 박사과정 재학생 충원률과 여학생 비율 비교 분석

         □여성 박사인력의 교육-고용 불일치 분석
             ○여성 박사학위 취득자 중 비진학 미취업자 규모와 미취업 사유 분석을 통하여 여성 박사인력의 배출 규모와 그들의 일자리 기회(취업자 수) 간의 불일치, 박사과정 진학동기와 취업 실태 간의 차이, 직업과 전공 및 학위수준의 일치도, 학위취득 지역과 취업 지역 간의 차이 등을 분석함.
             ○녹색산업 관련 전공분야, 여성 박사인력 배출 규모가 큰 전공분야와 지역, 여성 박사인력의 취업률이 낮은 전공분야와 지역을 중심으로 교육-고용 불일치 실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함.

         □경제위기 이후 여성박사 취업 실태 변화
             ○2008년 8월 이전과 2009년 2월 이후 여성 박사학위취득자의 취업률, 정규직 취업 여부, 취업자의 직종, 산업, 직장유형 등 분석
         
         □신규 여성 박사인력의 교육-고용 연계 지원 실태 (양적 수급 불일치가 큰 전공분야와 대학을 중심으로 조사 범위 조정) 
             ○인력수요 맞춤형 여성 박사인력 양성 사례 발굴
             ○대학에서 남녀 박사학위 취득자 취업지원 실태
             ○남녀 박사학위 취득자의 경력전환 수요

         □정책 시사점 도출 및 과제 제안

         

        ▣ 기대효과

         □녹색성장 관련 분야가 우수 여성인력을 끌어들일 수 있는 가능성 분석
         □여성 박사인력이 다수 배출됨에도 불구하고 교육-고용 불일치가 심한 분야확인 및 그에 대한 정책방안 모색
         □여성 박사인력 활용도 제고 정책과제 발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