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직업훈련체제의 현황과 정책과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태홍 연구기간 1998-01-01 ~ 1999-06-01

        가. 연구목적
          우리 나라의 여성 직업훈련은 산업계의 수요가 있는 기능인력 양성과 취약여성집
        단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사회복지의 두  가지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  중
        에서 산업인력양성 차원에서 이루어진 여성 직업훈련은  주로 노동부가 담당해왔으
        며, 일부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해왔다. 이에 비해  취약여성을 대상으로 한 직업
        훈련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해왔으나, 지방자치제도가  도입되면서 대부분의  기능이
        지방정부로 이관되어 운영되고 있다. 1995년 현재 이들 기관의 여성 직업훈련 현황
        을 보면, 공단이 1,175명, 자치단체 595명, 정부기관(장애인공단 포함) 276명 그리고
        대한상공회의소가 207명을 양성하였다. 이들 기관이  양성한 여성인력은 전체 양성
        인력의 7.4%에 지나지 않는다. 즉, 훈련비용을 정부가 부담하거나  상대적으로 훈련
        비용이 저렴한 공공부문에서 양성되는 여성인력은 극히 적고  또한 이들 인력의 인
        적특성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아직 없으나 30세 미만의 미혼 중심이었다.
          향후 산업구조가 급변하고 여성의 노동시장참가  욕구가 지속적으로 높아감에 따
        라 여성인력에 대한 직업능력개발, 그리고  청년층에 못지 않게 중장년층  여성인력
        에 대한 직업능력개발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성에 대한 직업훈
        련 현실을 보면 여성의 직업능력개발의 참여는 여전히 낮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와 같이 이분화된 여성 직업훈련체제가 여전히  지속되면서 독립적으로 운영되어옴
        에 따라 훈련과목과 대상의 중복이  발생하여 훈련재원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복지
        차원의 여성직업훈련은 훈련과 취업간의 연계성이 떨어짐으로써 훈련성과가 저조한
        실정이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여성의 직업훈련에 대한 수요 분석
            (나) 여성의 직업훈련에 대한 공급 분석
            (다) 여성의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및 훈련공과 분석
            (라) 여성 직업훈련생의 인적특성 분석
            (마) 여성 직업훈련체계의 효율화를 위한 대처방안 제시
          (2)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나) '여성의 직업훈련 수요조사'의 원자료 분석
            (다) '여성취업실태조사' 등 여성직업훈련 원자료 분석
            (라) 훈련 기관 및 훈련실적 조사(120기관)
            (마) 기관별 여성훈련생의 조사(1,200명)

        다. 연구결과
          여성직업훈련을 둘러싼 이와 같은 환경변화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정부
        가 재정 지원하는 직업훈련기관을 중심으로 여성  직업교육훈련체제와 여성 직업훈
        련생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여성 직업
        훈련체제의 개편 방향, 여성의 직업훈련 활성화를 위한 기반  조성 방안, 공공 직업
        능력개발시설의 여성 직업훈련 강화  방안, 지방자치단체 여성  직업훈련프로그램의
        효율성 제고 방안, 일하는 여성의 집의 운영 효율성 제고 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제
        시하였다.
         
        라. 기대효과
          (1) 여성에 대한 직업훈련의 확대 효과
          (2) 노동부 여성직업훈련의 효율성 증대
          (3) 지방자치단체의 여성직업훈련의 강화
          (4) 각종 여성관련 직업훈련체제의 개편방안 제시
          (5) 여성 직업훈련재원의 효율적 운영 방안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