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아버지 지원’과 ‘유연근무제 확대’로 가족친화기업 증가
        등록일 2019-10-14

        독일, ‘아버지 지원’과 ‘유연근무제 확대’로 가족친화기업 증가

        채혜원 독일통신원

        • 독일 쾰른 경제연구소가 발표한 ‘가족친화기업 보고서 2019’에 따르면 독일 기업에서 가족친화정책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가족친화정책을 중시하는 기업 관리자와 인사담당자 비율은 83%에 이르며, 아버지를 위한 지원 조치를 새로 제공하거나 강화된 기업 비율은 전체 기업 중 절반 이상인 53%로 나타났다.
        • ‘가족친화기업 보고서’는 규모별로 대표되는 기업 및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이뤄지며, 연방 가족·노인·여성·청소년부에서 후원한다. 기업별로 운영하는 가족친화정책은 규모에 따라 많이 다르지만, 대기업이 더 많은 정책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기업 규모는 직원 수가 5명~50명 미만인 소규모 기업이다.
        • 보고서에서 다루는 정책 영역은 크게 ‘유연한 근무 시간 및 업무 조직’, ‘(아버지 포함) 육아휴직 및 육아 지원’, ‘아이 돌봄’, ‘가까운 가족으로부터 가정 돌봄 제공’, ‘가족 서비스/정보 및 상담 제안’등 5가지로 나뉜다. 이중 이전 보고서가 발표된 2015년보다 크게 나아진 영역은 ‘아버지 지원’과 ‘유연근무제’이다.
        • 아버지 지원정책을 제공하는 기업 비율은 2015년 35%에서 2018년 53%로 크게 늘었다. 이는 전체 기업 중 36% 기업에서 아버지가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비율과 시간제 근무가 늘었음을 의미한다. 가족 돌봄을 하고 싶거나 현재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아버지를 지원하는 회사 비율도 높아졌다.
        • 이어 설문조사에 응한 기업 중 28%에서 남성 관리자가 육아휴직을 자발적으로 사용했으며, 25%의 아버지가 자녀 출생 시 육아 휴가나 시간제 근무를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응답 기업의 약 15%는 아버지인 남성 근로자를 한정된 기간에 한해 시간제 근무가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 독일 쾰른 경제연구소는 전반적으로 기업에서 아버지의 일·가족 양립 지원정책에 대한 민감도가 크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남성의 가족친화정책 이용률이 크게 늘었는데, 예를 들어 남성 관리자가 육아휴직을 하거나 시간제 근무로 전환하는 것을 예외적인 일로 여기지 않는 경우가 늘었다.
        • ‘아버지 지원정책’과 함께 가족친화기업이 증가한 주요 요인은 ‘유연근무제 확대’다. 직원들은 모바일 기술 확산과 유연근무제가 미래를 위한 주요 주제라고 답했다. 응답 직원의 44%, 응답 기업의 59%가 향후 5년 안에 유연근무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다양한 유연근무제 정책 중에는 개별적으로 합의된 근무 시간 이용이 크게 늘었다. 10개 기업 중 8곳에서 이를 제공하고 있다.
        • 이와 함께 전체 기업의 92%가 ‘시간제 근무’를 제공하고 있으며, 시간제 근무를 실시하는 기업 중 79%는 정해진 기간에 한해 근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10개 기업 중 8곳에서 개별적으로 합의된 근무 시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10개 기업 중 7개 기업에서는 주 4일 근무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주4일 근무 모델을 택한 직원은 근무 시간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하루 근무 시간인 8시간을 주4일에 나눠 근무(예를 들어 일 8시간에서 10시간으로 2시간씩 초과 근무)한 후 나머지 하루를 쉬는 형태로 이용하고 있다.
        • 또한 근무 시간과 장소를 자율로 결정하는 ‘신뢰기반 근무’제도를 운영 중인 기업은 48% 정도이며, 약 43%의 기업은 재택근무 등 원하는 곳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반드시 모바일과 관련한 업무가 아니더라도 제조 산업 등의 다른 업무 영역에서도 신뢰 기반 근무 등이 사용되고 있다. 14%의 기업에서는 일정 기간 쉴 수 있는 안식 기간을 운영 중이다.
        • 프란치스카 기파이 독일 연방 가족·노인·여성·청소년부 장관은 보도자료를 통해 “90%에 이르는 직원이 가족친화정책이 기업문화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정책 이용 시 직업적으로 불이익을 당할까봐 두려워하고 있다.”며 “이는 오히려 생산성을 낮추는 일이므로 직원 가족과 관련된 지원정책이 주요 인사정책이 되도록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