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 개발 연구
        구분 수탁 분야 통계
        연구자 안상수/민무숙/안상수/김이선/김금미/조영기/류정아
        발간년도 2010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론: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3

        2. 연구내용 및 방법 5
        가. 연구내용 5
        나. 연구방법 6
        다. 연구의 전체 진행 절차 8

        3.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9


        Ⅱ. 한국사회 특수성과 다문화수용성 11

        1. 다문화사회 전개에 있어서 한국사회 특수성 13

        2. 다문화사회 전개의 장애요인 15
        가. 단일성에 대한 신념과 폐쇄적 민족주의의 단면 16
        나. 보편성의 결여와 개발도상국 출신자에 대한 편견 19
        다. 동화에 대한 일방적 기대 21

        3. 다문화사회 사회통합의 과제: 주류집단과 다문화수용성 23


        Ⅲ. 다문화수용성 척도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개관 27

        1. 다문화수용성 관련 이론 개관: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이론적 조망틀 29

        2. 다문화수용성 척도 관련 용어 정의 33

        3. 다문화수용성 척도 관련 국외 연구들 개관 35
        가. 문화간 의사소통 유능성 및 감수성에 관련한 연구들 35
        나. 다문화(정체성) 단계이론 관련 연구들 38
        다. 국외 연구들이 주는 시사점과 차용점 44

        4. 다문화수용성 척도 관련 국내 연구들 개관 45
        가. 다문화수용성 관련 연구: 다문화수용성 개념을 중심으로 45
        나. 다문화수용성 관련 연구: 척도개발을 중심으로 48
        다. 문화적응이론을 적용한 다문화수용성 연구들 48
        라. 국내연구들이 주는 시사점과 차용점 50


        Ⅳ.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의 개발과정 51

        1. 구인(구성개념)의 정의: 다문화수용성 53

        2. 도구의 이론적 구조: 다문화수용성의 영역과 구성요소 53
        가. 다문화수용성의 두 차원 53
        나. 주요 영역 55
        다. 수렴 및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한 기존 관련 척도와 비교 57
        라.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한 관련 변수 60
        마. 다문화수용성 지향 구분 62

        3. 척도의 개발 및 문항의 제작 과정 64
        가. 문항의 수집 및 제작 64
        나. 문항원집합 구성 66
        다. 내용타당화 과정 66

        4. 하위영역과 문항의 타당화 과정 66
        가. 집단면담 결과(Focus Group Interview) 66
        나. 예비조사 1 78
        다. 예비조사 2 80


        Ⅴ.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본조사 결과 89

        1. 본조사의 실시 92
        가. 본조사의 목적 92
        나. 본조사의 방법 92

        2. 다문화수용성 척도(KMCI) 타당화 관련 분석 96
        가. 기초문항분석 96
        나. 문항-척도 상관관계 98
        다. KMCI의 전체 및 하위척도 간 관계 100
        라. 다문화수용성척도(KMCI)의 전체 및 하위척도의 신뢰도 102
        마. 구인타당도 103
        바. 수렴 및 변별 타당도 109

        3. 다문화수용성(KMCI)의 집단 간 비교 114
        가. 성별 비교 114
        나. 연령별 비교 116
        다. 혼인여부별 비교 분석 118
        라. 학력수준별 비교 분석 119
        마. 경제수준별 비교분석 121
        바. 지역별 비교 분석 123
        사. 접촉경험별 비교 분석(해외경험빈도) 126
        아. 일반지역/집주지역 비교 결과 127

        4. 준거 관련 타당도 분석 결과 129
        가. 위협인식 129
        나. 다문화 관련 교육 및 활동 경험 137
        다. 대중매체 노출경험 142
        라. 선진국, 개발도상국 출신자에 대한 상대적 (비)선호 148
        바. 사회적 거리감 152
        사. 정책에 대한 태도 157
        아. 다문화수용성(KMCI)의 유형 및 단계분석 161
        자. 다문화수용성 예측 변인들 165


        Ⅵ. 결론 및 제언 169

        1. 척도의 활용과 실시 171
        가. 척도의 실시를 위한 지침 171
        나. 점수계산 및 변환 173

        2. 결론 및 추후 조사를 위한 제언 176
        가. 연구결과의 종합 및 결론 176
        나. 다문화수용성척도의 한계와 유의사항 177
        다. 후속연구의 필요성 및 정책제언 179


        · 참고문헌 183

        · 부    록 191
        부록 1. 예비조사 1 질문지 193
        부록 2. 예비조사 2 질문지 203
        부록 3. 본조사 질문지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