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디지털 성문화 특성 분석과 성교육 과제
        구분 기본 분야 사회/문화
        연구자 김정혜/문희영/김효경/이혜정/홍남희
        발간년도 2022
        첨부파일 [기본] 청소년의 디지털 성문화 특성 분석과 성교육 과제 - 김정혜(보이스아이)(수정).pdf ( 11.14 MB ) [미리보기]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Ⅱ. 청소년 디지털 성문화 특성 및 성교육의 한계
        1. 디지털 성문화와 청소년의 문화적 위치: 온라인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2. 청소년의 디지털 성문화와 성교육 경험: 심층면접 및 FGI를 중심으로
        Ⅲ. 국내외 성교육 사례 분석
        1. 디지털 환경에서 포괄적 성교육 지침과 해외 성교육 사례 분석
        2. 변화하는 성문화를 반영하는 국내 포괄적 성교육 사례 분석
        Ⅳ. 청소년 성교육의 방향과 과제
        1. 청소년 성교육에서 디지털 환경의 고려
        2. 성교육 전반에서 청소년의 참여 확대
        3. 포괄적 성교육 내용 반영
        4. 포괄적 성교육 실행 지원
        ○ 온라인은 자신을 표현하고, 인정을 추구하며, 정보를 구하고, 타인과 교류하는 삶의 공간임. 비대면적 온라인 공간에서 청소년은 오프라인에서는 쉽게 시도할 수 없는 폭력을 감행하거나 이에 가담하기도 하고, 디지털 미디어의 일상적인 이용 도중에 쉽게 폭력에 노출되기도 함. 디지털 미디어 이용 경험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남. 일상적인 미디어 이용 경험은 어렵지 않게 자신과 타인의 관계를 해하고 때로 커다란 부정적 영향을 몰고 오지만 청소년이 이러한 결과를 예측하고 대비하기는 더욱 어려움.
        ○ 온라인과 디지털 미디어 이용 경험이 보편화된 현실에서, 온라인과 디지털 미디어 이용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부각하고 제한의 대상으로 삼고자 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온라인 공간의 복합성을 간과하는 태도임. 온라인 공간은 권력이 작동하는 공간, 청소년이 젠더규범을 학습하는 차별과 혐오의 공간이면서 동시에 페미니즘적 연대와 해방, 역량 강화의 공간으로서의 잠재력을 가짐. 무엇보다 청소년들의 온라인 경험이 소통문화나 관계 맺기 방식에서도 변화를 가져옴에 따라 청소년들은 차별과 혐오, 평등을 위한 지향이 공존하는 공간에서 성적 경험을 축적하고 정보를 접하며 새로운 유형의 관계 역시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청소년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경험의 보편화와 이에 따른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로 성교육의 방향 전환 및 실효성 향상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음. 이에 이 연구는 청소년 디지털 성문화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의 인권으로서 포괄적 성교육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