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주류화 제도개선 방안 연구
        구분 수탁 분야 정책
        연구자 마경희/성민정/성경/이은아
        발간년도 2020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Ⅱ. 성 주류화의 개념과 제도 설계
        1. 성 주류화의 개념과 속성
        가. 성 주류화의 개념: 성평등 관점의 행정 개혁
        나. 성 주류화의 잠재력: 모든 부처의 성평등에 대한 책무성
        다. 성 주류화의 속성
        2. 성 주류화에 대한 통합적 접근의 요소들
        가. 성 주류화의 성공 조건과 차원들
        나. 성 주류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과 도구들
        3. 성 주류화 제도 운영 사례: 스웨덴

        Ⅲ. 한국의 성 주류화 제도 운영 성과와 한계
        1. 성 주류화 제도의 도입과 발전
        2. 성별영향평가
        가. 제도 연혁 및 실적
        나. 성과
        다. 개선의 필요성
        3. 성인지 예산
        가. 제도 연혁 및 현황
        나. 성과
        다. 개선의 필요성
        4. 성인지 교육
        가. 성과
        나. 개선의 필요성
        5. 국가성평등지수
        가. 성과
        나. 개선의 필요성
        6. 종합적 논의
        가. 도구 중심의 성 주류화
        나. 도구 적용의 실질적 목표 부재
        다. 원인 진단

        Ⅳ. 성평등을 위한 전략으로서 성 주류화의 재설계 방향과 과제
        1. 성 주류화 제도 재설계를 위한 통합 모형
        가. 개념
        나. 명확한 성평등 목표와 측정지표
        다. 적절한 자원의 할당
        라. 젠더 전문가의 정책 과정 참여 제도화
        2. 국가성평등지수의 효과적 활용
        가. 국가성평등지수의 목적과 역할
        나. 국가성평등지수체계의 개편
        다. 국가성평등지수의 활용
        3. 정책분석 도구의 효과성 제고
        가. 성별영향평가 개선 방향과 과제
        나. 성인지 예산제도 개선 방향과 과제
        다. 성별영향평가와 성인지 예산제도의 연계 방안
        4. 성인지 교육의 구조적 재편 방안
        가. 성인지 교육의 재편 방향
        나. 성인지 교육 운영 과제
        5. 성 주류화 기반 강화
        가. 성 주류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나. 각 부처 업무 총괄?조정, 자문, 모니터링 강화
        다. 양성평등정책담당관실 성 주류화 업무 추진 모델 사례 발굴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