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구분 수탁 분야 노동/경제
        연구자 오은진/강민정/정성미/이서현/노우리/손창균
        발간년도 2020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Ⅰ. 서 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추진체계
        3.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Ⅱ. 2019년 조사 추진 경과
        1. 2016년 조사 대비 2019년 조사 변경사항
        가. 조사설계의 차이
        나. 조사표 주요항목 수정
        다. 조사유형 및 조사내용
        2. 2019년 조사 개요 및 현황
        3. 2019년 조사 표본설계
        가. 모집단 및 표본추출틀
        4. 가중치 조정 및 모수 추정
        가. 가중치
        나. 추정

        Ⅲ. 2019년 주요조사 결과
        1. 응답자 특성 분석
        가. 응답자 유형 분석
        나. 응답자 인구사회학적 특성
        2. 2019년 VS 2016년 주요 조사결과 비교
        가.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
        나.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이후 첫 번째 일자리
        다. 취업여성의 현재 일자리
        Ⅳ. 경력단절 여성을 둘러싼 환경 분석
        1. 경력단절여성들의 일자리 경험과 경력단절 사유
        가. 경력단절여성 현황
        나. 경력단절 사유
        다. 경력단절 여성의 특성과 경력단절 사유와의 관계
        라. 소결
        2. 경력단절위기 극복 요인과 단절 후 재취업 성공요인
        가. 경력단절 위기를 극복한 경험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위기극복과 그렇지 못한 경우의 차이 비교분석
        나.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대상자들 재취업 이유 및 적극적 구직활동 관련 분석
        다. 소결
        3. 경력단절이후 일자리 변화: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와 재취업(첫일자리) 일자리 비교(다, 라, 마)
        가. 일자리 특성 및 근로조건 변화
        나. 경력단절 경험에 따른 현재 일자리의 근로조건 격차
        다. 소결
        4. 새로운 일자리 현황 및 취업욕구
        가. 플랫폼 노동 경험 있는 응답자들의 과거 일자리 경력 특성
        나. 창업?프리랜서 희망자들의 과거 일자리 경력 특성
        다. 시간제 근로 희망자들의 과거 일자리 경력 특성
        라. 소결
        5. 경력단절예방 및 취?창업과 관련한 추가적 정부정책의 요구분석
        가. 경력단절예방 및 취?창업과 관련한 추가적 정부정책의 요구
        나. 소결
        6. 경력단절 여성의 요구분석
        가. FGI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주요결과와 시사점
        가. 경력단절의 유형별 비중과 경력단절 시점
        나.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의 특성
        다. 경력단절의 사유
        라. 경력단절에 따른 임금손실과 재취업 소요기간
        마. 경력단절의 위기극복과 재취업 성공
        바. 새로운 일자리 현황 및 취업 욕구
        사. 경력단절예방 및 취?창업과 관련한 추가적 정부정책의 요구분석
        2. 경력단절 여성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의 정책제언
        가.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기간의 감소(8.4년→7.8년): 경력단절여성 취업기능 강화
        나. 여성고용의 안정성 및 근로시간의 단축과 다양한 “일”의 증가
        다.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라. 플랫폼, 창업, 프리랜서 일자리와 관련한 변화
        마. 경력단절여성의 애로사항을 반영한 취업지원서비스 강화
        3. 2022년 4차조사 제안
        가. 조사 표본 확대
        나. 설문 문항의 안정성 제고
        다. 조사방법 개선: TAPI 조사 실시

        ? 참고문헌
        ?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