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구분 수탁 분야 가족
        연구자 전기택/전기택/정해숙/김이선/김영란/주재선/강민정/선보영/최윤정/주유선/박건표/동제연
        발간년도 2013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3

        2. 연구내용 및 방법 7
        가. 연구내용 7
        나. 연구방법 15


        Ⅱ. 가구 구성표 분석 결과 25

        1. 다문화가족의 일반적 특성 27
        가. 다문화가족의 분포 27
        나. 가족구성 31
        다. 등록 장애인 현황 36

        2. 다문화가족의 자녀와 양육 40
        가. 평균 자녀 수 40
        나. 자녀의 연령별 분포 42
        다. 자녀의 취학 44
        라. 만 9세 미만 자녀의 보살핌 방법 45
        마. 자녀 양육의 어려움 47
        바. 외국 성장 자녀 49

        3. 다문화가족의 주거, 소득, 정부 지원 제도 수혜 53
        가. 주거 53
        나. 월평균가구소득 58
        다. 정부 지원 제도 수혜 61

        4. 무응답 분석 63
        가. 무응답 분석의 필요성 63
        나. 무응답 유형 65
        다. 응답률 산정 방법 67
        라. 가구 무응답 분석 71
        마. 가구원 무응답 분석 89

        5. 오차분석 98
        가. 가중값에 대한 분석 98
        나. 주요 변수에 대한 상대표준오차의 추정 105

        6. 종합논의 및 정책제언 111
        가. 종합논의 111
        나. 정책제언 114


        Ⅲ. 결혼이민자·귀화자 등 조사표 분석 결과 115

        1. 결혼이민자·귀화자 등의 일반적 특성 118

        2. 결혼생활 및 가족관계 125
        가. 혼인상태 126
        나. 기혼자의 동거 여부 및 자녀 계획 128
        다. 사별 또는 이혼·별거자의 혼인지속기간 및 이혼?별거 사유 135
        라. 부부간 문화적 차이 145
        마. 부부 갈등 148
        바. 가사 분담 및 의사 결정 152
        사. 가족 관계 만족도 161
        아. 가족 내 역할 175
        자. 만남과 결혼 182

        3. 자녀양육 192
        가. 자녀에 대한 희망 교육 수준 192
        나. 모국으로의 유학 195
        다. 배우자의 양육자 역할 197

        4. 사회생활 및 지원서비스 199
        가. 한국 생활에서의 어려움 199
        나. 사회적 네트워크 204
        다. 모임과 사회활동 참여 213
        라. 다문화 수용성 226
        마. 사회적 차별 경험 228
        바. 사회적 지위 242
        사. 교육 및 지원서비스 247
        아. 관련 지원 시설 이용 경험 252

        5. 경제활동 상태 256
        가. 취업여부 256
        나. 직종 259
        다. 지난 일주일 간 근무시간 263
        라. 종사상 지위 265
        마. 구직 경로 268
        바. 한국에서 일하면서 느끼는 어려움 271
        사. 월평균 임금 276
        아. 일을 하지 않는 이유 278
        자. 향후 취업 의사 283
        차. 일자리 탐색의 어려운 점 285
        카. 모국에서의 직업 287
        타. 사례를 통해 본 여성 결혼이민자의 취업?구직 경험 291

        6. 국적 취득·투표 경험·모국 가족 초청 등 304
        가. 국적 취득 304
        나. 투표 경험 312
        다. 모국 가족 초청 경험 314
        라. 한국 거주 모국 출신 가족 319

        7. 언어 사용 321
        가. 한국어 실력 321
        나. 평소 가정 내 언어 사용 331

        8. 건강상태·의료기관 이용·생활 만족도 337
        가. 건강상태 337
        나. 의료기관 이용 340
        다. 생활 만족도 345

        9. 종합논의 및 정책제언 348
        가. 일반적 특성, 결혼생활 및 가족관계 348
        나. 한국에서의 생활 353
        다. 관련 시설 및 교육지원 서비스 이용 357
        라. 경제활동 상태 359
        마. 한국어 및 모국어 사용 363


        Ⅳ. 결혼이민자·귀화자 등의 배우자 조사표 분석 결과 367

        1. 결혼이민자·귀화자 등의 배우자의 일반적 특성 369

        2. 결혼생활 및 가족 관계 371
        가. 동거여부 및 자녀 계획 371
        나. 이혼·별거자의 혼인지속기간 및 이혼?별거 사유 384
        다. 부부간 문화적 차이 392
        라. 부부 갈등 399
        마. 가사분담 및 의사 결정 408
        바. 가족 관계 만족도 419
        사. 가족 내 역할 438
        아. 만남과 결혼 450

        3. 자녀양육 461
        가. 자녀에 대한 희망 교육 수준 461
        나. 결혼이민자 등의 모국으로의 유학 465
        다. 결혼이민자 등의 양육자 역할 471

        4. 경제 활동 상태 474
        가. 취업 여부 474
        나. 직종 477
        다. 지난 일주일 간 근무시간 483
        라. 종사상 지위 485
        마. 월평균 임금 489
        바. 일을 하지 않는 이유 493
        사. 향후 취업 의사 497

        5. 배우자 국가의 언어 사용 관련 태도 499
        가. 결혼이민자·귀화자 등의 모국 언어 구사 정도 499
        나. 결혼이민자·귀화자 나라의 언어에 대한 태도 510

        6. 다문화 수용성 519

        7. 생활 만족도 523

        8. 결혼이민자·귀화자 등과 배우자 문항 비교 분석 525
        가. 부부의 만남·차이·갈등·헤어짐 525
        나. 가사분담과 의사결정 529
        다. 가족 관계와 가족 내 역할 532
        라. 자녀 양육 536
        마. 배우자 국가의 언어 사용 539
        바. 다문화 수용성 542
        사. 생활 만족도 543

        9. 종합논의 및 정책제언 544
        가. 결혼이민자·귀화자의 배우자 인구사회학적 특성 544
        나. 결혼생활 및 가족관계 545
        다. 자녀양육 549
        라. 경제활동 특성 550
        마. 배우자의 모국언어에 대한 태도 및 다문화 수용성 552


        Ⅴ. 만 9∼24세 자녀 조사표 분석 결과 555

        1. 다문화가족 자녀의 일반적 특성 557
        가. 개인적 특성 557
        나. 가족 특성 560

        2. 학교생활 및 진로계획 563
        가. 학교 재학 상태 564
        나. 학업중단 이유 565
        다. 재학생의 학업 및 학교폭력 경험 568
        라. 희망하는 교육수준 582
        마. 외국계 부모의 모국으로의 유학 의사 586

        3. 한국어와 외국출신 부모 언어 능력 및 태도 591
        가. 한국어 능력 591
        나. 외국계 부모 국가 언어 능력 598
        다. 외국계 부모 언어에 대한 태도 605

        4. 가족 및 사회생활 612
        가. 가족 관계 만족도 612
        나. 외국계 부모에 대한 인식 617
        다. 평일 저녁시간 활동 622
        라. 사회적 차별 경험 628
        마. 정서상태 641

        5. 경제활동 상태 652
        가. 15세 이상 자녀의 일반적 특성 652
        나. 취업 여부, 미취업 이유 및 취업 희망 여부 654
        다. 취업자 특성 659

        6. 다문화가족지원 서비스 이용 경험 및 지원 요구 669
        가. 시설 이용 경험 669
        나. 학교수업이외의 교육 및 지원 수혜경험 및 요구 682

        7. 외국 성장 자녀의 교육경험 및 국적취득 계획 701
        가. 외국 성장 자녀의 일반적 특성 701
        나. 외국 성장 자녀가 주로 성장한 국가에서의 교육 경험 706
        다. 한국국적 보유여부 및 국적 취득 계획 713

        8. 종합논의 및 정책제언 718
        가. 학교생활 및 진로계획 718
        나. 한국어와 외국출신 부모 언어능력 및 태도 721
        다. 가족 및 사회생활 723
        라. 경제활동 상태 726
        마. 다문화가족지원 서비스 이용경험 및 지원 요구 727
        바. 외국 성장 자녀의 교육경험 및 국적취득 계획 729


        · 참고문헌 731

        · 부    록 737
        부록 1. 표본설계 보고서 739
        부록 2.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조사표 771

        · 초    록 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