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 조사분석
        구분 수탁 분야 노동/경제
        연구자 김난주/김영숙/강민정/박건표/박미연
        발간년도 2016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3

        2. 연구추진체계 6

        3. 연구내용 및 방법 7
        가. 연구내용 7
        나. 연구방법 7

        4. 2013년 조사 활용 선행연구 8
        가. 「2013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8
        나. 「2013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조사결과 인용 12


        Ⅱ. 2016년 조사 추진 15

        1. 2013년 조사 대비 2016년 조사 변경사항 17
        가. 조사 대상 및 조사 혼인상태 17
        나. 조사표 작성 지침 및 주요 항목 수정 17
        다. 조사 흐름 및 조사 내용 30

        2. 2016년 조사 개요 및 현황 35
        가. 조사개요 35
        나. 조사현황 36

        3. 2016년 조사 표본 설계 37
        가. 모집단 및 표본추출틀 37
        나. 과거 조사결과 및 표본규모 39
        다. 층화 및 층별 표본배분 41
        라. 표본 추출 42
        마. 표본조사구내 가구 선정 44
        바. 표본관리 44

        4. 2016년 조사 가중치 및 모수 추정 45
        가. 가중치 45
        나. 모수추정 46


        Ⅲ. 2016년 조사 결과 49

        1. 응답자 특성 분석 51
        가. 응답자 유형 분석 51
        나. 응답자 인구사회학적 특성 56

        2. 일자리 분석 92
        가.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 92
        나.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이후 첫 번째 일자리 118
        다. 취업여성의 현재 일자리 154

        3. 구직활동 및 직업교육훈련 분석 191
        가.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구직활동과 직업교육훈련 191
        나. 비취업여성의 구직활동과 직업교육훈련 208

        4. 사직 및 재취업 의사 분석, 희망정책 분석 219
        가. 취업여성의 사직 의사 219
        나. 비취업여성의 취업·창업 의사 225
        다. 경력유지와 재취업을 위해 바라는 정책 238

        5. 경력단절 분석 241
        가. 경력단절 사유 및 배우자 상황 241
        나. 경력단절 발생 연령 및 일자리 249
        다. 재취업까지 걸린 경력단절 기간 및 임금(소득) 차이 253


        Ⅳ. 조사 결과 비교(2016년 VS 2013년) 257

        1. 2016년 조사와 2013년 조사 비교 259

        2. 응답자 분석 260

        3. 일자리 분석 267
        가.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 267
        나.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이후 첫 번째 일자리 279
        다. 취업여성의 현재 일자리 291

        4. 구직활동 및 직업교육훈련 분석 303
        가.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구직활동과 직업교육훈련 303
        나. 비취업여성의 구직활동과 직업교육훈련 316

        5. 사직 및 재취업 의사 분석, 희망정책 분석 323
        가. 취업여성의 사직 의사 323
        나. 비취업여성의 취업·창업 의사 326
        다. 경력유지와 재취업을 위해 바라는 정책 336

        6. 경력단절 분석 339
        가. 경력단절 사유 339
        나. 경력단절 발생 연령 및 일자리 342
        다. 재취업까지 걸린 경력단절 기간 및 임금(소득) 차이 345


        Ⅴ.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349

        1. 조사 결과 요약 351
        가. 2016년 조사 주요 결과 351
        나. 2016년 조사와 2013년 조사 비교 주요 결과 354

        2. 정책적 시사점 356
        가. 평생경력개발 지원 356
        나. 정부 직업교육훈련 사업 운영 효율화 358
        다. 일자리 발굴 및 지원 359
        라. 일가정 양립 정책 지원 361
        마. 워킹패밀리 자녀 양육 및 교육 지원 363

        3. 2019년 3차 조사 제안 365


        · 참고문헌 369

        · 부    록 371
        <부록 1> 2016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조사표 373
        <부록 2> 2015년 OECD 국가 연령별 여성고용률 401
        <부록 3> 연도별 소비자물가지수(기준 년도 2010년) 402
        <부록 4> 경력단절 당시 배우자 상황 403
        <부록 5>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 407
        <부록 6>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이후 첫번째 일자리 428
        <부록 7> 취업여성의 현재 일자리 439
        <부록 8> 경력단절여성의 일자리별 비교-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 경력단절 이후 첫 일자리, 현재 일자리(조사시점) 450
        <부록 9>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전후 일자리비교 457
        <부록 10> 시간당 임금(소득) 비교(2016년 VS 2013년) 469

        · Abstract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