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민자 정착 초기 지원 프로그램 개편 방안 연구
        구분 수탁 분야 정책
        연구자 김이선/황정임/최윤정/신선옥
        발간년도 2013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3

        2. 연구내용 8
        가. 여성결혼이민자 정착 단계별 서비스 요구 8
        나. 결혼이민자 정착 초기 지원 프로그램 현황 8
        다. 현행 지원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 요구 8
        라. 결혼이민자 정착 초기 지원 프로그램 재구조화 방안 9

        3. 연구방법 10
        가.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10
        나. 현행 결혼이민자 정착지원 서비스에 관한 행정자료 분석 10
        다. 여성결혼이민자 인터뷰 11
        라. 현장 전문가 인터뷰 및 워크숍 17


        Ⅱ. 선행연구 리뷰 19

        1. 이민자의 정착과정 21
        가. 이민자 정착의 제 차원 21
        나. 정착의 역동성 24
        다. 이민자의 정착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26

        2. 국내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착 과정 29
        가. 여성결혼이민자의 국내거주기간에 따른 정착 수준 29
        나.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수성과 정착과정의 전개 31
        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착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4


        Ⅲ.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착단계별 특징: 2012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결과 39

        1. 분석대상 특성 41
        가. 분석대상의 제한 41
        나. 응답자 특성 42

        2. 결혼이민자의 정착단계별 특성 및 요구 45
        가. 결혼이민자의 정착단계 구성 45
        나. 결혼이민자의 정착단계별 특성 47
        다. 정착단계별 적응의 어려움 50
        라. 정착단계별 서비스 수요와 수혜 경험 63

        3. 결혼이민자의 양육집단별 특성 및 요구 67
        가. 결혼이민자의 양육집단 구성 67
        나. 결혼이민자의 양육집단별 특성 70
        다. 양육집단별 적응의 어려움 73
        라. 양육단계별 서비스 수요와 수혜 경험 82


        Ⅳ. 정착 초기 여성결혼이민자의 현실과 서비스 요구 87

        1. 이주 이전 한국생활 준비상황 89

        2. 한국생활의 어려움과 서비스 수혜 경험 90
        가. 입국 직후의 탈구적 상황 90
        나. 서비스 이용의 중요성과 접근의 한계 91
        다. 문화적 차이의 경험과 사전교육의 의미 93
        라. 서비스 수혜 경험 94

        3. 서비스 수요 97
        가. 서비스 체계화의 필요성 97
        나. 탈구적 상황 극복을 위한 상담과 선-후배 결혼이민자 멘토링 99
        다. 지역생활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100
        라. 임·출산 지원 및 의료 통역 프로그램 101
        마. 자녀양육 및 어머니-자녀 관계 형성 102
        바. 자녀의 성장에 따른 학부모 역할 준비 104
        사. 직업 진로 설정 및 사회활동 경험 축적 105


        Ⅴ. 결혼이민자 정착초기 지원 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 109

        1. 정착초기 지원서비스 현황 111
        가. 이주 이전 111
        나. 이주 이후 119

        2. 정착초기 지원서비스 문제점 132
        가. 정착초기 지원프로그램간 중첩성, 분절성과 불연속성의 공존 132
        나.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착단계별 차별화된 지원 제공 미흡 140


        Ⅵ. 정책제언 143

        1. 입국 이전-이후의 초기지원 프로그램간 관계성 확립 146
        가. 이주 이전 현지사전교육의 기능 재정립 146
        나. 이주 이후 정착초기 지원교육 강화 149

        2. 정착단계별 지원 서비스 체계 확립 151
        가. 여성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서비스 수요 151
        나. 정착단계별 서비스 체계 구성 155

        3. 정착 초기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서비스 개발 157
        가. 정착 초기의 특징 157
        나. 기초 적응기를 위한 서비스 개발 159
        다. 자녀양육+사회진출 준비기를 위한 서비스 개발 160
        라. 복합요구 집단에 대한 서비스 개발 161


        · 참고문헌 163

        · Abstract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