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여성 생애주기별 교육프로그램 개발
        구분 수탁 분야 복지
        연구자 오은진/이미화/홍승아
        발간년도 2011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및 절차 5

        3. 연구방법 7
        가. 문헌 연구 및 관련 자료 수집 및 비교 분석 7
        나. 심층면접조사 7
        다. 프로그램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 조사 7
        라. 전문가 자문회의 7
        마. 전문가 협의회 7


        Ⅱ. 탈북여성 교육지원 연구 및 프로그램 현황 9

        1. 연구 동향 11
        가. 탈북여성 실태조사 및 가족 관련 연구 11
        나. 여성인력개발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연구 13
        다. 탈북여성 부모역량지원 프로그램 연구 16
        라. 생애주기별 여성인력개발 및 교육 프로그램 연구 18

        2. 탈북여성 교육 지원정책 및 프로그램 현황 20
        가. 개인 및 가족 역량 강화 20
        나. 취업 교육 프로그램 24


        Ⅲ. 탈북여성의 현실과 교육 요구 분석 29

        1. 탈북여성(학습자) 입장에서 본 현실과 교육 요구 31
        가. 탈북여성의 한국생활 적응 경험 32
        나. 생애주기별 탈북여성의 현실 및 교육 요구도 41

        2. 전문가의 입장에서 본 현실과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 70
        가. 기존 교육 프로그램의 현실 및 문제점 71
        나.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 72
        다. 제안된 교육 주제 및 내용 75

        3.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 77
        가. 교육 요구분석 결과 77
        나. 기존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 83


        Ⅳ. 탈북여성 생애주기별 교육 프로그램 85

        1. 정서지원교육 프로그램 87
        가. 주요 교육 대상자: 정착 1년이후~5년의 모든 탈북여성 87
        나. 학습목표 87
        다. 주요 교과 내용(20-50대) 88
        라. 주요 교과 내용(60대 이상) 88
        마. 교육방법 89
        바. 총 교육시수 89
        사. 기대효과 89
        아. 교육 대상의 확장 90

        2. 취업지원교육 프로그램 90
        가. 주요 교육 대상자: 정착 1년이후~5년의 20-40대 탈북여성 90
        나. 학습목표 90
        다. 주요 교과 내용 91
        라. 총 교육시수 95
        마. 기대효과 95
        바. 교육 대상의 확장 96

        3. 부모교육 프로그램 96
        가. 주요 교육 대상자: 자녀가 있는 탈북여성(정착 1년 이후) 96
        나. 학습목표 96
        다. 주요 교과 내용 96
        라. 총 교육시수 101
        마. 기대효과 102
        바. 교육과정 운영의 고려 사항 102

        4.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제언 103


        · 참고문헌 107

        · 부    록 109
        1. 심층면접 조사지 111

        · Abstract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