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구분 수탁 분야 정책
        연구자 최윤정/전기택/선보영/이솔
        발간년도 2017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2. 연구 내용 7

        3. 연구 방법 8

        Ⅱ. 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 다문화수용성 정책 현황 11

        1. 한국의 다문화사회 전개와 다문화수용성 제고 방향 13
        가. 한국의 다문화사회 전개 특징 14
        나. 상호공존의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수용성 제고 18

        2. 다문화수용성 관련 선행연구 20
        가. 다문화수용성을 구성하는 개념의 정의 20
        나.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태도 등 포괄적 다문화수용성 관련 선행연구 25
        다.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 교육 및 미디어 효과 관련 연구 33

        3. 주요 부처 다문화수용성 정책 현황 42
        가. 여성가족부 43
        나. 교육부 54
        다. 문화체육관광부 60
        라. 기타 부처의 수용성 정책 64

        Ⅲ. 다문화수용성 실태와 영향 요인 분석: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 재분석 67

        1. 분석 개요 69
        가. 분석 목적 69
        나. 분석 내용 69
        다. 분석 자료 70

        2. 다문화 접촉 실태 71
        가. 일반 국민 71
        나. 청소년 79

        3. 다문화 관련 정책 인식 85
        가. 일반 국민 85
        나. 청소년 92

        4. 다문화수용성 제고 정책 수단의 효과성 96
        가. 다문화수용성 개념 96
        나. 분석모형 98
        다. 회귀분석 결과 100

        5. 소결 105

        Ⅳ. 다문화수용성 정책의 실태와 요구: FGI를 중심으로 107

        1. 초점집단인터뷰(FGI) 개요 109

        2. 다문화수용성 현황과 관련 정책 추진 실태 111
        가. 인터뷰를 통해 본 다문화수용성 현황: 무관심, 반감, 고마운 존재까지 다양한 스펙트럼 111
        나. 다문화수용성의 변화 기제: 접촉(교류)과 교육 112
        다. 다문화수용성 정책 추진 실태: 교육 사업에 치중된 분절적 정책 추진 116

        3.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본 다문화수용성 제고방안 118
        가. 선주민-이주민간 교류 활성화 118
        나. 상호존중에 기반한 다문화이해교육 활성화 120
        다. 접점집단별 다문화수용성 제고 방안 130
        라. 사회문화적 차원의 다문화수용성 제고 정책 강화 147

        4. 소결 149

        Ⅴ. 주요 국가의 다문화수용성 정책 사례 155

        1. 영국 157
        가.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정책 157
        나. 다문화수용성 교육 160
        다. 미디어의 다문화수용성 정책 163
        라. 이주민과 선주민의 대면 접촉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그램 164

        2. 독일 166
        가.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정책 166
        나. 다문화수용성 교육 168
        다. 미디어의 다문화수용성 정책 170
        라. 이주민과 선주민의 대면 접촉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그램 171

        3. 프랑스 173
        가.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정책 173
        나. 다문화수용성 교육 174
        다. 미디어의 다문화수용성 정책 176
        라. 이주민과 선주민의 대면 접촉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그램 177

        4. 네덜란드 178
        가.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정책 178
        나. 다문화수용성 교육 179
        다. 미디어의 다문화수용성 정책 181
        라. 이주민과 선주민의 대면 접촉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그램 181

        5. EU: 유럽 국가 간 공동 협력 사례 182

        6. 캐나다 185
        가.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정책 185
        나. 다문화수용성 교육 190
        다. 미디어/매체 다문화수용성 정책 193
        라. 이주민/선주민 대면접촉 확대 프로그램 194

        7. 호주 200
        가.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정책 200
        나. 다문화수용성 교육 203
        다. 미디어/매체 다문화수용성 정책 207
        라. 이주민/선주민 대면접촉 확대 프로그램 208

        8. 미국 210
        가.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정책 210
        나. 다문화수용성 교육 212
        다. 미디어/매체 다문화수용성 정책 213
        라. 이주민/선주민 대면접촉 확대 프로그램 214

        Ⅵ. 다문화수용성 정책 방안 215

        1. 법, 제도적 조치의 강화 217

        2. 실효성 있는 다문화이해교육의 추진 219
        가. 아동·청소년 대상 219
        나. 주요접점 집단 및 성인 대상 222

        3. 미디어 영역에서의 다문화수용성 제고 227

        4. 선주민-이주민간 교류 활성화 231

        · 참고문헌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