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 대한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연구
        구분 수탁 분야 정책
        연구자 김동식/김영택/전혜상/동제연/장숙랑
        발간년도 2017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 내용 및 방법 5
        가. 연구 내용 5
        나. 연구 방법 5
        다. 연구 추진체계 6

        Ⅱ.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으로서 젠더 9

        1. 성과 젠더, 그리고 공중보건 11
        가. 성과 젠더 11
        나. 공중보건에서 성과 젠더 12

        2. 여성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과 다양성 13
        가. 여성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과 불평등 13
        나. 여성의 다양성과 건강 불평등 16

        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으로서 젠더 및 젠더 전환적 건강증진 18
        가.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으로서 젠더 18
        나. 젠더 전환적 건강증진 20

        4. 젠더 건강지표와 활용 23
        가. 젠더 건강지표 23
        나. 젠더 분석 24

        5. 소결 27

        Ⅲ. 국내외 젠더(여성) 건강지표 사례 29

        1. WHO 및 유럽지역의 젠더 건강지표 31
        가. WHO의 100가지 핵심 건강지표 31
        나. WHO 유럽지역의 Health 2020 38

        2. 주요 국가의 젠더 건강지표 42
        가. 미국의 Healthy People 2020 42
        나. 일본의 Health Japan 21 54
        다. 영국의 Public Health Outcomes Framework 57
        라. 한국의 Health Plan 2020 62

        3. 주요국가의 여성 건강지표 65
        가. 미국의 Women’s Health USA 65
        나. 캐나다의 Women in Health 67
        다. 호주의 Gender Health Indicators 72
        라. 뉴질랜드의 Gender Health Indicators 73
        마. 아일랜드의 National Women’s Strategy 74
        바. 여성가족부 및 보건복지부의 여성건강 지표 80

        4. 국내외 성평등 건강지표 84
        가. 국제 성평등 지표 84
        나. 국내 성평등 지표 87

        5. 소결 및 시사점 89

        Ⅳ. 젠더(여성) 건강지표에 관한 전문가 의견조사 95

        1. 조사 개요 97
        가. 조사 대상자 선정 및 특성 97
        나. 국내외 건강지표에 관한 젠더 검토 98
        다. 조사지 구성 및 분석 방법 115

        2. 조사 결과 116
        가. 젠더 불평등한 사회구조와 건강수명 및 건강형평성의 연관성 116
        나. HP의 젠더(여성) 건강지표의 필요성 및 대표지표로서의 적절성 128
        다. 해외 젠더(여성) 건강지표의 필요성과 대표지표로서의 적절성 142

        3. 소결 166

        Ⅴ. 정책과제 171

        1. HP2030 계획수립 시 젠더(여성) 건강지표 적용 방향 173
        가. 젠더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한 HP 지표의 구성 방향 173
        나. HP 신규 젠더 및 여성 건강지표 적용 방향 176
        다. 지표 축소 시 적용 방향 185
        라. 젠더(여성) 지표 적용의 적절성 제고 188

        2. HP2030의 젠더(여성) 건강형평 제고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 192
        가. HP 젠더 지표 의견수렴 과정에서 여성 참여 확대 192
        나. 젠더관점을 반영한 지표 모니터링 실시 193
        다. 중앙과 지방정부간의 모니터링 협력체계 구축 195
        라. 중앙/지방정부와 민간과의 모니터링 협력 체계 구축 199
        마. 지역 주민과의 모니터링 협력 체계 구축 199

        · 참고문헌 203

        · 부    록 209
        부록1. 전문가 의견조사지 211
        부록2. 미국 Healthy People 2020의 성별 지표 현황표 230
        부록3. 국제사회 젠더 및 여성 건강지표 현황표 263
        부록4. HP 중점과제별 관련 법적근거 및 기본계획 279
        부록5. 제4차 HP의 사업분야 및 중점과제별 자료원 현황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