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구분 수탁 분야 가족
        연구자 안상수/민무숙/김이선
        발간년도 2012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론: 연구의 목적 및 방법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가. 한국사회의 다문화화 추이
        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정책 대응의 중요성

        2.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3.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수용성 개념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가. 사회정체성 이론, 국민정체성 및 한민족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나. Berry의 문화적응이론과 다문화수용성
        다. 시티즌쉽과 세계시민의식의 적용
        라. 다문화수용성 관련 최근 연구 동향: 다문화수용성 측정치 정리

        2. 다문화수용성 관련 국제비교 지표
        가. 유로바로메터 조사(Eurobarometer Survey)
        나. 유럽사회조사(European Social Survey)
        다. 종합사회조사와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


        Ⅲ.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의 개정 및 타당화

        1. 개정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의 필요성 및 의의
        가. 2010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 개발 연구

        2. 구인(구성개념)의 정의: 다문화수용성

        3. 도구의 이론적 구조: 다문화수용성의 영역과 구성요소
        가. 다문화수용성의 세 가지 차원
        나. 다문화수용성 차원별 하위영역
        다. 문항의 수집 및 제작
        라. 문항원집합 구성
        마. 내용타당화 과정

        4. 다문화수용성 척도의 타당화 과정
        가. 예비조사의 실시
        나. 조사문항의 구성
        다. 예비조사의 결과
        라. 다문화수용성 조사를 위한 조사표의 확정


        Ⅳ. 본조사 및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결과

        1. 본조사 및 국민 다문화수용성조사의 실시
        가. 타당도 확인을 위한 본조사 실시의 목적
        나. 타당도 조사의 방법

        2. 다문화수용성 척도(KMCI) 타당화 관련 분석
        가. 기초문항분석
        나. 문항-척도 상관관계
        다. 다문화수용성척도(KMCI)의 전체 및 하위척도의 신뢰도
        라. 구인타당도

        3.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비교
        가. 성별 비교
        나. 연령별 비교
        다. 혼인상태별 비교
        라. 지역 규모별 비교 분석
        마. 권역별 비교
        바. 교육수준별 비교
        사. 직업별 비교
        아. 고용형태별 비교
        자. 소득수준별 비교

        4. 다문화수용성의 준거 관련 변수의 분석
        가. 해외여행 빈도별 비교
        나. 해외 거주경험 유무별 비교
        다. 다문화 정책에 대한 태도
        라. 위협인식과 다문화수용성
        마. 대중매체를 통한 접촉경험


        Ⅴ. 국민 다문화수용성지수(KMAI) 결과

        1. 국민 다문화수용성지수의 산출과정
        가. 가중치의 도출방법
        나. 다문화수용성지수의 가중치
        다. 다문화수용성지수의 산출 공식

        2. 국민 다문화수용성지수의 집단별 비교
        가. 국민 다문화수용성지수 결과
        나. 다문화수용성지수: 성별비교
        다. 다문화수용성지수: 연령대별 비교
        라. 다문화수용성지수: 혼인상태별 비교
        마. 다문화수용성지수: 교육수준별 비교
        바. 다문화수용성지수: 지역규모별 비교
        사. 다문화수용성지수: 권역별 비교
        아. 다문화수용성지수: 직업별 비교
        자. 다문화수용성지수: 종사상 지위별 비교
        차. 다문화수용성지수: 월가구총소득별 비교
        카. 다문화수용성지수: 접촉빈도 및 접촉유형별 비교
        타. 다문화수용성지수: 위협인식 고저별 비교
        하. 다문화수용성지수: 대중매체 접촉경험 비교
        갸. 다문화수용성지수: 다문화 관련 활동 참여경험별 비교
        냐. 다문화수용성지수: 국민정체성(ISSP, 2003) 항목 및 유형별 비교


        Ⅵ. 다문화 관련 지표의 국제비교

        1. 국제지표 비교: 다문화지향성 및 다문화의 한계 인식
        가. 다문화지향성과 단일민족지향성
        나. 다문화의 한계 인식

        2. 국제지표 비교: 국민정체성과 시티즌쉽
        가. 국민정체성
        나. 시티즌쉽


        Ⅶ. 결론 및 정책 제언

        1. 조사결과의 종합 및 결론

        2. 정책적 제언
        가. 향후 과제
        나.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언


        · 참고문헌

        · 부    록
        부록.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설문지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