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베트남 젠더 프로파일
        구분 기본 분야 국제협력
        연구자 장은하/곽서희/김경주/구영은
        발간년도 2014
        첨부파일 [일반]_(아태_단위_2)_미얀마_베트남_젠더_프로파일_-_장은아(보이스아이).pdf ( 4.37 MB ) [미리보기]
        목   차
        Ⅰ. 서 론
        1. 젠더 프로파일 발간 배경
        2. 젠더 프로파일의 의미 및 목적
        3. 젠더 프로파일 작성 방법
        가. 정량지표
        나. 정성지표
        4. 젠더 프로파일 구성

        Ⅱ. 미얀마 젠더 프로파일
        1. 일반현황
        가. 정치
        나. 경제
        다. 종교
        라. 인종
        마. 문화(기후)
        바. 한?미얀마 관계
        2. 젠더 현황
        가. 성별 통계 및 지표
        나. 젠더와 빈곤
        3. 젠더관련 주요 법과 정책
        가. 젠더관련 주요 법
        나. 젠더관련 주요 정책
        다. 젠더관련 국가기구 및 조직
        4. 원조체계 및 젠더 프로젝트
        가. 원조체계
        나. 원조 프로젝트
        5. 부문별 젠더분석
        가. 여성의 정치 참여
        나. 여성고용 및 경제활동
        다. 여성인권 및 여성폭력
        라. 여성과 교육
        마. 여성과 보건
        바. 여성과 농업
        6. 소결

        Ⅲ. 베트남 젠더 프로파일
        1. 일반 현황
        가. 정치
        나. 경제
        다. 종교
        라. 인종
        마. 문화
        바. 한?베트남 관계
        2. 젠더 현황
        가. 성별 통계 및 지표
        나. 젠더와 빈곤
        3. 젠더관련 주요 법과 정책
        가. 젠더관련 주요 법
        나. 젠더관련 주요 정책
        다. 젠더관련 국가기구 및 조직
        4. 원조체계와 젠더 프로젝트
        가. 원조체계
        나. 원조 프로젝트
        5. 부문별 젠더분석
        가. 여성의 정치 참여
        나. 여성 고용 및 경제활동
        다. 여성과 교육
        라. 여성 인권 및 여성폭력
        마. 여성과 보건
        바. 여성과 농업
        사. 여성이주와 국제결혼
        6. 소결

        Ⅳ. 결 론

        ? 참고문헌

        ? 부    록
        <부록 1> 미얀마 여성관련 기관
        <부록 2> 베트남 여성관련 기관
        1. 젠더 프로파일 발간 배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2011년도부터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1-2차년도인 2011-2012년에는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를 협력대상국으로 선정하였고, 3-4차년도인 2013-2014년에는 미얀마와 베트남을 추가하여 현재 4개국을 대상으로 협력대상국 수요파악, 정책실무자 역량강화, 정부간 대화, 정책 네트워크 구성 등 양성평등 인프라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수원국 맞춤형 여성정책을 개발하여 한국 정부에 제안함으로써 한국 ODA사업의 성 주류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동 사업 추진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작업은 해당 지역의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여성과 관련된 정치?경제?문화 자원을 조사, 발굴하여 현 시점에서의 젠더문제 현안을 파악하는 것이다. 2013년 본보고서인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 (III): 여성정책 지식공유 기반구축”에서도 국가별 젠더 현황 및 분석을 다루고 있으나 이는 핵심내용만 추린 것으로 그 내용이 매우 간략하다. 본 젠더파일은 미얀마와 베트남의 국가별 전반적 젠더 현황, 법?정책?기구, 섹터별 현황을 자세히 기술하였으며, 본보고서의 부가적 실용서로 활용될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미얀마?베트남 젠더 프로파일은 본보고서인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 (III): 여성정책 지식공유 기반구축”과 동시에 작성되었으며 상당부분 본보고서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보고서와 겹치는 부분은 프로파일 전반에 걸쳐 각주에 명시하였다. 
         
        2. 젠더 프로파일의 의미 및 목적
        국가 젠더 프로파일은 성인지적 국가전략, 프로그램, 프로젝트의 수립과 담론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 특정 국가의 양성평등정책의 전반적 현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SIDA, 2010). 젠더 프로파일의 세부목적은 다음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김은경 외, 2011b: 3-4). 첫째, 젠더 관련 문제를 만성적이면서도 동시에 급박한 이슈로 보는 시각으로서, 젠더 관련 이슈에 대한 담론을 확장하고, 분류하는 작업이다. 또한 젠더 정책과 그 실행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 지식에 존재하는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절한 제안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젠더 관련 권리옹호활동(advocacy)에서 제기한 담론들을 통합하는 것이다. 둘째, 개발도상국의 성차(gender gap)에 대한 공여기관의 이해를 증진시켜, 개발도상국 성주류화 노력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젠더 프로파일링을 통해 다음 사항을 포함하는 소기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김은경, 2011: 3-4). 

        ? 기존의 젠더 관련 국가 전략과 그 이행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 평가
        ? 새로운 정책과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환경이 개발도상국 여성과 남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여성과 남성의 역할, 의무, 여성 교육/보건/경제역량강화, 농업, 임업, 어업 분야에의 참여에 대한, 인식 변화의 정도와 그 본질에 대한 평가 
        ? 전반적 젠더 시나리오에서 지속적인 이슈 및 새로운 이슈들을 인지 및 분류하고, 여성과 남성의 변화하는 사회적, 경제적 개발 상황을 촉진 또는 방해하는 요소들에 대한 인지 
        ? 젠더 관련 정책이나 그 실행 과정에서 개입이 필요한 분야 소개 

        본 미얀마?베트남 젠더 프로파일은 이러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작성되었으며 제시된 분석 포인트에 대한 해답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