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노동시장 이행의 결정요인
        저자 김영옥
        발간호 제057호 통권제목 1999년 제2호
        구분 ARTICLE 등록일 2010-01-27
        첨부파일 6. 여성 노동시장 이행의 결정요인_김영옥.pdf ( 6.89 MB ) [미리보기]

        * 본 논문은 김영옥의 「99 연구보고서 230-22 여성취업력의 동태적인 변화분석」의 6장을
          정리한 것임.

        <목    차>
        Ⅰ.  연구목적과 내용
        Ⅱ.  추정모형과 변수
        Ⅲ.  취업상태에서 비취업상태로의 이행률
        Ⅳ.  비취업상태에서 취업상태로의 이행률
        Ⅴ.  결론 및 함의


        Ⅰ. 연구목적과 내용

           산업화 이후 여성, 특히 기혼여성의 노동공급량이 상대적으로 급증하고 있고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도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결과를 갖고  여성의 취업경력유형이 불연속적인 형태를 벗어나는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횡단면 자료(cross-section  data)의 분석결과를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는 오류를 범하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동태적 과정의 정태적 분석이 가져오는 측정오차는 이미  잘 연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노
        동공급 측정치인 경제활동참가율은 저량변수(stock)로서 한 시점에서의 노동시장참가자 비율이라는 정태
        적 측면만을 보여준다. 경제활동참가율이 같다고 해도 모집단내 여성의 노동공급구조가 동일한 것은 아
        니므로 단순히 저량(貯量; stock)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고용정책을 수립하게 되면 그 실효성을 거두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에 따라 외국에서는 발달된 동태분석 기법을 토대로 여성들의 생애에  걸친 경제활동 과정을 분석
        하는 시도가 활발하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 여성의 노동시장 이동과정에 대한 동태적 연구는 전무
        한 실정인데, 그 주된 이유는 동태분석을 가능케 하는 자료의 부족이라고 볼  수 있다. 다행히 한국여성
        개발원은 1992년 「제2차 여성취업실태조사」에 이어 1997년 「제3차 여성취업실태조사」에서도 조사대
        상여성의 15세 이후 취업경력을 응답자의 회상에 기초하여  추적 조사한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아울러 
        결혼과 출산 등 여성의 가정형성 과정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파악하고  있어서 경제활동과 가족형성 행
        위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상관되어 있는가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이 자료를 재분석하여 생애에  걸친 한국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유형은 어떠한 것이며, 노동
        시장 이동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그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여성
        의 생애에 걸친 경제활동참가 유형이라 함은 노동시장 안팎으로의 진입과 퇴출을 중심으로 한 노동시장 
        이동 또는 이행(transfer)과정으로 파악한다. 
           본고의 분석대상은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중  아직 학업을 마치지 않은  학생을 제외시킨 총 2,856명 
        여성의 취업경력이며 분석단위는 취업주기와 비취업주기라는 스펠(spell)이다. 여기서 주기란  한 상태가 
        지속된 기간을 말한다. 주기(spell)를 분석단위로 하기 때문에 각 여성은 하나 이상의 주기를  가지게 된
        다. 한 상태에 머문 기간이 오래될수록 주기의 수는 적어지는 경향이 있고,  상태를 자주 바꾸는 경우에
        는 지속기간이 짧아지고 주기 수는 늘어날 것이다. 


        Ⅱ. 추정모형과 변수

        1. 모형

           한 개인 i가 j상태에 t 기간동안 머물다가 그 상태에서 나갈 단위시간당 해자드(hazard)율 hij(t)라 하
        고(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바뀌는 것을 해자드(hazard)라고 하며, 이와 같이 상태가 바뀔 확률을 이행
        확률, 전환률 또는 해자드율 등으로  다양하게 부른다), T를 j상태에서의 이행이  발생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무작위 확률변수라고 할 경우, hij(t)의 함수를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모형수립에 대
        한 자세한 설명은 보고서 24∼32쪽을 참조할 것). 

        hij(t│xi(t)) = lim Pj(Δt →0)  [t≤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