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성노동시장 주요 특징 및 시사점
        연구사업 기본연구사업 출간연도 2025
        주관·관계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첨부파일 [KWDI이슈페이퍼] 최근 여성노동시장 주요특징 및 시사점(정성미)_20251031.pdf ( 1.07 MB ) [미리보기]

        - 2023년 이후 30대 여성 중심의 고용률 증가가 이어지며 여성 중심의 노동시장 변화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여성 고용률 증가(2019년~2024년)는 전문과학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보건사회복지업, 공공행정 등의 영향이 컸으며, 특히 30대 전문과학서비스업, 정보통신업에서 전문가와 사무직이 크게 증가했고, 50대 이상 중고령층에서는 보건사회복지업, 공공행정 중심으로 증가함.
        - 어린자녀가 있는 여성의 취업확률이 낮은 현상은 지속되고 있지만, 과거에 비해 그 영향력이 약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25~39세 여성 고용률 증가에는 미혼 및 가구독립의 증가, 자녀 감소의 영향(저출산)이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남.
        - 자녀가 있는 여성의 더욱 활발한 노동시장 참여를 위해 육아휴직·근로시간단축·유연근무제와 다양한 돌봄 지원을 결합한 다층적 지원체계의 강화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