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혼가족의 적응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장혜경 연구기간 2001-01-01 ~ 2001-12-01

        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구동태통계에 의하면 우리 나라의 혼인건수는 1992년 이후로 매년 감소하고 있는 반면 이혼건수는
        증가하고 있다. 결혼에 대한 이혼비율은 1990년 11.3%에서 1998년 32.1%로 8년 사이에 20%포인트
        이상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이혼의 증가는 재혼가족의 증가를 가져오는데 1999년 현재 결혼한
        36만 6천 쌍 중 부부한쪽 또는 양쪽이 재혼인 경우는 13.2%로 89년의 10%대를 넘어선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혼인형태별로는 남녀모두 재혼인 경우와 초혼남과 재혼녀의 혼인 형태가
        꾸준한 증가추이를 보이면서 여성들의 재혼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혼의 증가가
        재혼 및 이에 따른 복합가족 (blended families, step families, mixed families)의 증대를 가져오는
        반면 재혼의 높은 이혼율이 보여주는 복합가족의 해체 또한 심각한 사회이슈가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초혼가정의 이혼율이 40%인데 비해 재혼가정의 이혼율은 70%, 세 번째 결혼일 경우엔 이혼
        율이 80-90%까지 올라간다는 통계보고가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공식통계는 없지만 가정법률
        상담소의 재혼부부의 갈등상황 통계를 볼 때 초혼보다는 재혼의 이혼율이 더 높은 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재혼가족의 새로운 가족에의 적응문제의 심각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재혼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재이혼율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가 구체적으로 보고되고 있지 않지만
        그 추이를 볼 때 재혼가족은 초혼가족과는 다른 접근이 요청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혼
        가족에 대한 법제도적 문제와 사회적 편견, 그리고 이들 가정의 가족문제를 다루는 연구나 정부
        조직은 거의 찾기 어려워 재혼가족을 지원하는 사회적 지원체계나 적응 프로그램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재혼은 어떠한 시각에서든 당사자인 자신들이 보다 나은 삶을 누리기 위한 하나의 노력이요 선택
        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재혼가족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 가족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이며 아울러 이들을 위한 개인, 지역사회, 국가가
        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은 정부의 다양한 가족형태에 따른 가족기능강화 노력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재혼가족에 대한 법제도적 문제와 사회의 편견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일반인의 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재혼가족의 혼인형태별 규모 및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 가족원들의 구체적인 가족관계를 통해 적응상의 문제를 밝혀보고자 한다. 셋째,
        의식조사와 실태조사결과를 기초로 재혼가족의 가족안정성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을
        모색하는 것이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재혼가족에 대한 일반인의 의식조사
          (나) 재혼가족의 혼인형태별 규모 및 실태 파악
          (다) 재혼의 혼인형태에 따른 가족관계 구체적 실태 파악
          (라) 재혼가족의 가족안정성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제언
         (2) 연구방법
          (가) 국내 및 외국 문헌연구
          (나) 설문조사
          (다) 심층면접조사
          (라) 전문가 웍크샵
          (마) 외국사례연구 (상담 및 적응 훈련 프로그램)

        다. 기대효과
         (1) 재혼가족유형과 가족문제와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가족제도와 기능,
             그리고 가족구성원들의 관계와 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
         (2) 재혼가족이 당면하는 가족문제관련 프로그램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3) 재혼가족유형에 따른 가정기능의 회복 및 강화와 가정해체를 예방하는 가정
             중심 복지서비스 체계 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