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자치센터'를 통한 지역여성활동 활성화 방안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홍숙 연구기간 2002-01-01 ~ 2002-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정부는 98년 새정부 출범 100대 과제의 하나로 '읍·면·동 기능전환'사업을 제시, 99년부터 2000년
        까지 1단계로 자치구의 기능전환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하여, 올해부터는 모든 자치구에서 주민자치
        센터 운영에 들어갔다. 2단계는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읍·면에서 시범사업을 하고 있으며, 올해 중
        2단계 확산의 범위에 대한 결정을 내릴 전망이다.
        주민자치센터는 읍·면·동사무소의 여유 시설과 공간에 주민의 문화·복지, 편익시설 등을 설치·운
        영함으로써,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주민들이 주
        민자치센터의 운영에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주민자치 활동의 장, 지역공동체 형성의 구심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주민자치센터는 정부주도의 한국적 상황에서 지역주민의 자발성을 끌어내는데 어려운 여건 속
        에 있으며, 이는 21세기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의 지방자치제가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착
        되어야 하는 과제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또한 이제까지 여성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은 두 가지 갈등적 상황이 내재되어 있어왔다. 정부의 관심
        에서 보면, 여성은 지역사회 발전의 동원력으로서 큰 자원을 형성해 왔다. 여성계는 이에 대해 여성을
        무보수 자원으로 이용하려는 것이라고 비판적 입장을 견지해왔다. 그러나 또 다른 한편 여성계의 궁
        극적 고민의 핵심은 여성학과 여성운동의 성과를 일반여성들이 자신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받아들이고
        실천하면서, 자신들의 지속적인 지지세력을 형성해주는 대중성의 확보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인식 하에, 주민자치센터의 정착과정에서부터 성인지적 관점을 갖고 개입할 필요
        성이 있다고 본다. 현재 정부의 읍·면·동 기능전환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주민자치센터 및 주민자치
        위원회의 운영, 주민참여 등에 대한 성인지적 접근은 없는 형편이다. 내년이면 시행결과에 대한 평가
        를 통하여 방향을 재조정해 나가기에 적절한 시점이라고 판단되는 바, 본 연구는 매우 시의성 있는 과
        제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자치센터를 통한 지역여성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탐구하여, 주민자치센
        터를 매개로 여성운동의 저변화·대중화와 함께 지방자치제의 발전에 기여하는데 있다. 여성들이 개
        인적으로나 또는 조직을 통하여 지역을 터전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풀어나가면서 다각
        적인 지역활동을 전개해 나갈 때, 여성주체의 성인지적 관점이 반영된 주민자치의 길을 이루게 될
        것이다.

        [ 연구내용 및 방법 ]

        (1) 연구내용
        (가) 주민자치위원회의 제반 기능 및 운영사항 분석
        (나) 주민자치센터의 요구, 목표, 시설, 인력, 프로그램, 재정, 홍보 등 운영계획 및 운영결과 분석
        (다) 주민자치센터의 운영·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 등 내용분석 
        (라) 지역여성활동 사례분석
        (마) 주민자치센터의 여성활동 활성화 방안 마련

        (2) 연구방법
        (가) 주민자치센터 관련 국내외 문헌연구
        (나) 94개 자치구 조사: 주민자치센터 운영계획 및 운영결과 기본자료 수집/ 담당자 질문지 면접조사
        (다) 1,655개 주민자치센터 조사 : 주민자치위원회 프로그램 등 기본자료수집/담당자 질문지 우편조사
        (라) 지역여성활동 사례조사
         
        [ 기대효과 ]

        (1) 주민자치센터의 정착에 기여
        (2) 여성의 지역활동 강화
        (3) 여성학·여성운동의 대중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