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의 여성인력 수요와 직종개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영옥 연구기간 2002-01-01 ~ 2002-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우리사회가 지식기반경제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으며, 이제 노동력에 체화된 지식과 기술이 기업의 경
        쟁력을 결정하는 관건이라는 데에 별다른 이의가 없는 상태임. 더불어 다양한 경험이 바탕이 된 여성
        의 창의성과 기술이 새로운 사회로 진입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로 부각한지 오래임.
        그러나 1990년 이후의 시계열자료는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이 곧바로 여성고용구조의 개선으로 이어
        지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음. 예컨대 김영옥(2001)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고학력 여성에게 새
        로운 경력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아직까지 그러한 잠재력이 크게 현실
        화되지 못했음을 보임. 현재 우리나라 대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6%로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에
        머물러 있는 (OECD, 1998) 등 여성, 특히 고학력 여성인력의 활용은 전반적으로 불충분한 상태임.
        더욱이 대다수의 기업들은 대학이 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제대로 육성하지 못한다고 느끼고 대졸 신입
        사원들의 업무 능력에 대한 불만을 갖고 있어(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대졸사원을 다시 교육시키
        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현장에 곧바로 투입할 수 있는 경력사원 채용을 선호하면서 신규 취업자,
        특히 기업특수 숙련의 습득에 불리한 여성의 취업난이 더욱 심각해질 전망임.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정부의 직접적인 여성취업촉진정책은 한계에 부딪힐 것으로 전망되는 바 기업의
        여성인력 수요 자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 발굴이 요구됨. 이에 본 연구는 e-비즈니스 등 정보통신
        기술의 확산으로 업무내용과 일하는 방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지금, 기업체 조사결과를 토대로 전반
        적인 여성인력 수요를 진단하고, 향후 취업기회가 많은 직종과 직무가 무엇이고, 또 기업 내에서 핵심
        인력으로 경력을 쌓아 가는데 유망한 직종과 직무가 무엇인지를 발굴함으로써 특히 고학력 여성인력
        에 대한 수요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함.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정부는 친시장적 노동정책
        을 구사할 수 있을 것이며, 기업도 여성인력의 잠재력 발휘를 통해 조직몰입도 제고와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연구내용 및 방법 ]

        (1) 연구내용
        (가) 여성의 취업구조와 직종구조의 변화추이 분석을 통한 산업계 수요 파악
        (나) 기업의 여성인력 수요
        (다) 여성유망(첨단)직종의 발굴(성장률 projection, 기업의 수요 전망 등)
        (라) 정책방향 및 개선전략의 제시

        (2)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나) 기업의 인사담당자,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 구성 및 워크숍 개최
        (다) 원자료 분석: 노동부의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보고서',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연보' 등
        (라) 기업의 여성인력 수요조사: 공기업, 상장기업, 코스닥등록기업, 비상장 벤처기업 등을 대상으로
             업종별, 규모별 층화추출한 약 1,000여개 기업의 인사담당(HR) 직원
        (마) 세미나 개최

        [ 기대효과 ]

        (1) 기업의 여성인력 수요 활성화
        (2) 여성인력의 직무 만족도 및 조직몰입의 제고
        (3) 유망직종의 발굴을 통한 여성고용의 확대 및 질 개선
        (4) 수요자 중심의 여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