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기반 여성정보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백영주 연구기간 2002-01-01 ~ 2002-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이미 산업분야에서는 IT가 주요 경쟁전략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으며, 정부차원에서는 국제경쟁력 확
        보를 위해 국가정보화 촉진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이 가운데는 여성정보화도 포함되어
        있으며, 여성정보시스템구축과  여성인력양성을 위한 여성정보화 교육 사업을 지원해왔다.
        그러나 여성정보화는 여성정책차원에서 장기적인 발전전략하에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따라서 정부주
        도의 일련의 여성정보화 관련사업은 체계성을 갖추지 못한 채 다소 산발적인 지원사업형태로 추진되
        어 왔다. 따라서 정보사회에서 발전의 기반구조인 정보 네트워크 측면에서 보면, 해결되어야 할 과제
        를 많이 내포하고 있다.
        우선 첫째로, 여성정보화 인프라의 취약성을 들 수 있다. 여성활동의 장이며, 여성운동을 주도하는 여
        성단체 및 여성 연구기관의 정보인프라를 보더라도 현재까지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단체/기관은 총 40여
        개에 불과한데, 이는 활동이 활발하거나 지부조직이 방대한 100여 개 이상 여성단체의 7백만명 이상의
        회원 규모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열악한 수준이라 하겠다.
        그 다음 문제점으로는, 기존 정보시스템간의 교류체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 해서 여성정보의 공유
        및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그 동안 여성운동의 한 특징인 여성연대/ 협력사업
        은 여성의 세력화에 기폭제가 되어 왔으며, 여성운동의 파급측면에서 효과적인 전략으로 기여해왔다.
        같은 맥락에서 여성정보시스템간 연계 및 상호협력은 정보사회에서 주요한 경쟁전략으로 간주되며,
        이를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세 번째는, 기존 여성정보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활용 측면에서 나타난다. 즉 본원 여성정보시
        스템을 비롯한 여성정보사이트의 이용률을 보면, 일반이용자의 참여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는
        데, '여성의식 확산 및 여성발전에 일반인의 참여확대'라는 기본 전제에서 볼 때, 이는 시급히 해결
        책이 제시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와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서비스 현황 및 시스템 성능평가, 그리
        고 사용자 정보 수요조사 등을 실시하여 여성정보 교류기반 확충을 도모하고, 나아가 다양한 정보자
        원에의 접근성 및 정보공유 활용의 시너지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아울러 일반여성들로 하여금 여성관
        련 지식정보의 활용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이 분야의 정보격차를 해소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연구내용 및 방법 ]

        (1) 연구내용
        (가) 국내 여성정보시스템 현황파악 및 문제점 분석 : 웹기반 여성정보시스템 35개 내외(국내)
         - 기관성격별 시스템분석
         - 시스템별 성능 평가
         - 정보 컨텐츠 분석
        (나) 외국 여성정보시스템 사례소개
         - UN 여성관련기구, 미국, 일본
        (다) 사용자 만족을 위한 수요조사 : 여성관련기관/단체 종사자 및 여성단체 회원 등 300명
         - 여성정보시스템 측면
         - 여성정보 컨텐츠 측면
        (라) 국내 여성정보네트워크 활성화를 위안 방안 제시

        (2)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나) 인터넷 검색 : 관련자료수집 및 외국사례 조사
        (다) 시스템 성능 평가
         - 측정방법 : 기존 정보시스템 측정 도구 활용
        (라) 사용자 만족을 위한 수요조사
         - 설문지 조사
        (마) 전문가 자문회의

        [ 기대효과 ]

        (1) 여성정보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정보공유 및 정보활용의 시너지효과 창출
        (2) 여성 지식정보 체계 구축을 위한 토대 제공
        (3) 지역간, 계층간 여성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