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청년층집단의 취업이행 실태와 정책과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태홍 연구기간 2002-01-01 ~ 2002-12-0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최근 신규로 학교를 졸업하고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여성 청년층집단(15-24세; women youth)의 취업
        현황을 보면 먼저 대졸여성의 취업률은 41.0%(실업대책위원회; 1999년)로 상당히 낮다. 그리고 취
        업된 여학생의 68.5%만이 정규직으로 취업되어, 전체여학생 중에서 정규직으로 채용된 비율은 28.1%에
        불과하다. 또한 15-19세 고졸여성과 20-24세 대졸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취업구조를 보면 정규직으로
        취업하는 여성비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1999년 해당 연령층의 고졸 및 대졸 여성 중에서 정규직으
        로 취업한 여성비율은 각각 10%미만과 30% 정도이었다. 그리고 노동시장에 신규로 진입하는 고졸과 대
        졸 여성집단의 실업률도 10∼20% 수준을 유지하여, 미취업상태에 있는 상당수의 여성 청년층집단도 계
        속해서 취업을 희망하고 있었다.
        우리 나라와 같이 내부노동시장이 잘 발달된 경우에는 이와 같은 여성 청년층집단의 낮은 취업률과 임
        시직 중심의 취업구조는 여성의 생애 경제활동패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향후 여성
        인력공급구조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노동시장의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성 청년층 집단의 노동시장 이행형태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여학생의 학교
        교육 및 직업교육, 취업준비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는지, 여학생의 전공과 취업간의 연계관계, 취업
        지도 및 서비스체제의 역할, 여학생의 비정규직 취업이 사회적 오점효과(stigma effect)가 있는지의
        여부, 여학생의 취업 이후 추가적인 교육훈련의 필요성 등과 같은 정보가 거의 없다. 결과적으로 여성
        청년층집단을 위한 취업이나 경력개발과 관련된 체계적인 정책이 거의 수립되지 못하고 있다.
        외국에는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과정과 여성 신규학교졸업생의 취업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자료는 청년층패널(Youth Panel)이 있으나, 우리 나라는 아직 이러한 자료가 생산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현실을 감안하여 본원이 2001년에 회상법(retrospective method)을
        사용해서 여성 취업력을 조사하는 여성 취업실태조사 결과 및 대졸여성의 취업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를
        이용하여, 여성 청년층 집단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과정, 여성의 주요 취업결정요인, 청년층
        여성의 취업 및 실업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기초로 ①여성 청년층
        집단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들 유휴인력집단의 활용을 제고시키기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②여성 청년층집단의 노동시장 이행행태에 대한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여성 신규 학교졸
        업자에게 보다 정확한 취업전략을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③여성 청년층집단의 취업구조를 개선하기 위
        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내용 및 방법 ]

        (1) 연구내용
        (가) 여성 청년층집단의 교육 및 훈련 현황 분석
        (나) 여성 청년층집단의 노동이행과정 분석
        (다) 여성 대졸자의 주요 취업결정요인 분석
        (라) 각국의 여성 청년층집단의 취업률 및 취업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 비교분석
        (마) 여성 청년층집단의 취업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2)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분석
        (다) 「제4차 여성의 취업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라) 신규로 졸업한 남녀 대졸자의 주요 취업결정 요인 조사

        [ 기대효과 ]

        (1) 여성 신규 학교졸업자의 취업촉진을 위한 정책 방안 마련
        (2) 여성의 학교에서 취업에로의 이행과정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3) 남녀 대졸자의 주요 취업결정요소에 대한 기초 자료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