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자의 가족형성 양상과 정책 접근 방안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이선 연구기간 2015-01-01 ~ 2015-12-31

        ▣ 연구책임자
        김이선 연구위원

        ▣ 연구목적
        □ 한국사회에서 간과되어온 이주자의 가족형성 이슈에 본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사회통합의 사각지대에 대한 대응을 본격화하는 한편 젠더관점을 통합한 이주자 및 그 가족 관련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정책 접근방안을 모색

        ▣ 주요 연구내용
        □ 이주자의 가족 형성 가능성과 실제 양상
        - 이주자 집단별 비교: 가족 동반 가능 이주자/ 그 외 이주자
        - 가족 형성 방식: 가족 동반/ 국내에서의 가족 형성
        □ 가족형성과정 및 가족생활 상의 문제
        - 가족형성 과정에서의 문제
        - 한국생활 상의 문제
        - 가족생활의 불안정성
        - 체류자격 및 가족 형성 가능성에 따른 집단별 비교
        - 이주자 성별 비교: 여성 이주자의 가족생활 문제
        □ 가족형성과정 및 가족생활 상의 문제 발생 요인
        - 제도적 요인
        - 사회환경적 요인
        - 이주자 개인, 가족 차원의 요인
        □ 관련 정책 현황 및 해외 정책 사례
        - 관련 정책 현황
        - 민간 단체의 관련 활동
        - 주요 이슈에 관한 해외 정책 사례
        * 일본 등 이주 관련 정책이 유사한 국가 중심
        □ 정책 접근 방안
        - 주요 정책과제와 정책 대안
        - 이주자 집단별 접근방안□

        ▣ 연구방법
        □ 국내외 관련 연구 리뷰 및 관련 자료 분석
        - 이주자의 가족 동반. 가족 형성 관련 제반 사항에 관한 해외 연구 리뷰
        - 외국인 관련 자료 재분석: 출입국통계, 체류외국인 실태조사 등
        □ 현장 전문가 인터뷰(개별, 집단): 15인
        - 다양한 이주자 집단 및 그 가족원을 현장에서 직접 접하면서 그들의 문제를 면밀히 파악하고 있는 현장 전문가의 경험을 통해 가족형성, 가족생활 관련 이슈, 경향, 사례 등 파악
        □ 가족형성 경험 이주자 사례 연구: 20가족
        - 이주자로서의 특수성으로 인해 가족형성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거나 가족생활의 어려움, 가족관계의 불안정성을 경험한 사례
        * 가족 동반 가능성 여부 별 사례 배분
        * 이주 여성이 부인, 어머니로서 역할을 하고 있거나 과거에 했던 가족 중심으로 선정
        * 대상자 성격상 일회성 인터뷰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사례별로 여러 차례의 인터뷰를 시행
        □ 정책 및 민간단체 활동 현황 분석
        - 국내 정책 현황
        - 민간단체 활동 현황
        - 이주자의 가족 형성, 가족생활 이슈에 관한 해외 정책 사례
        □ 전문가 워크숍 및 자문회의
        - 이주자의 가족형성, 가족생활 이슈와 주요 요인
        - 주요 과제와 정책 대안

        ▣ 정책적 기여도
        □ 이주의 추세와 이주자의 정주자화 경향에 따른 이주자 가족 이슈 도출을 통한 학술 연구 주제 확대
        □ 이주자 집단별 가족 이슈 비교 분석을 통한 학술 연구의 질적 수준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