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여성의 생산적 삶을 위한 정책과제(Ⅲ): 지역사회활동 참여 활성화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박성정 연구기간 2015-01-01 ~ 2015-12-31

        ▣ 연구책임자
        박성정 선임연구위원

        ▣ 연구목적
        - 사회활동에의 참여는 노년의 생산적 삶에 핵심적인 것으로, 넒은 의미의 사회활동에는 경제활동, 단체활동, 여가 및 자원봉사활동, 종교활동, 정치활동, 교육 참여 및 학습활동 등이 포함됨. 노년기에 늘어난 여가시간을 어떻게 생산적으로 보낼 것인가는 노년기의 가장 심각한 고민으로, 유급노동 외에 지역사회활동에의 참여, 사회공헌활동 등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
        - 만55세 이상의 여가활동 참여정도를 보면, ‘별다른 여가활동 없이 지낸다’가 41.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가끔 참여한다’(34.3%)로  여가활동에의 참여도가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별다른 여가활동 없이 지낸다’는 비율이 여성은 45.1%, 남성은 36.9%로 여성의 여가활동 참여도가 남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남. 지난 1년간 봉사활동에 참여한 비율은 전체의 16.5%로 나타남(박성정 외, 2013).

        - 노년의 활기찬 삶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소득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겠지만,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의미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소속감, 참여의식을 갖는 것도 매우 중요함. 봉사활동을 함으로써 삶의 만족도가 증가했다는 비율은 95.8%로 매우 높아, 노년의 삶의 만족도에 봉사활동 참여가 가지는 의미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음(박성정 외, 2013). 그러나 우리나라는 전반적으로 사회공헌활동, 자원봉사문화가 취약한 편으로, 노년의 사회공헌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미흡한 편임.
        - 지은정 외(2013)는 OECD, 유럽연합, WHO 등 국제기구의 시니어의 사회공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시니어 사회공헌이 낯설다고 지적함. “경제성장 위주의 삶과 노동문화 속에서 열심히 일만 하고 살아온 현 시대의 시니어들에게 사회공헌은 유급노동과 등치되며 그 외의 사회공헌은 낯설다”고 함.

        ▣ 주요 연구내용
        □ 1차년도(2013): 학습 일 여가 참여 실태와 요구
        - 노년기 여성과 생산적 삶의 의미 
        - 학습· 일· 여가 관련정책 현황
        - 노년기 여성의 학습· 일· 여가 참여 실태와 문제
        - 노년기 여성의 생산적 삶을 위한 학습· 일· 여가정책 요구와 과제

        □ 2차년도(2014):  노후설계를 통한 노후대비 역량 강화
        - 노년기 여성의 노후준비 실태
        - 노년기 여성의 노후설계교육 및 서비스 참여 경험과 요구 
        - 노년기 여성 노후설계교육 및 서비스 정책 현황
        - 교육훈련복지기관 등의 프로그램 운영 실태
        - 노년기 여성의 노후설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 3차년도(2015): 지역사회활동 참여 활성화
        - 지역사회활동의 정의 및 범주
        - 노년기 여성의 지역사회활동 참여 실태
             - 봉사활동, 주민자치활동 참여 등
        - 고령자 지역사회활동 지원정책 및 사업 현황
        - 노년여성의 지역사회활동 참여 경험
        - 외국 프로그램 사례
        - 노년기 여성의 지역사회활동 참여 및 생산적 삶을 위한 정책과제

        ▣ 연구방법
        - 문헌 및 자료 분석
        - 통계 재분석: 학습, 일, 여가 실태조사(2013) 등
        - 실태조사: 고령여성 1000명. 지역사회활동 참여 실태조사 
        - 면담 및 FGI 조사: 고령여성 20명, 기관 관계자 10명
         사례조사 : 해외 사례
        - 자문회의
        - 세미나

        ▣ 기대효과
        □ 노년기 여성의 사회공헌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도 제고
        □ 노년기 여성의 삶의 질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