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및 비취업 여성의 역량 실태와 과제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최윤정 연구기간 2016-01-01 ~ 2016-12-31

        ▣ 연구책임자

           최윤정 부연구위원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OECD 국제성인역량조사를 활용하여 경제활동상태에 따른 우리나라 여성들의 기초역량
            및 스킬활용 수준과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여성 역량의 결핍지점과 과잉 지점을 파악하는 한편,
            국제 수준에서 한국 여성들의 역량을 진단함으로써 우리나라 여성의 역량 유지 및 개발의 정량적
            논거와 정책 개입 지점을 발굴하고자 함.

        ▣ 주요 연구내용

         □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및 역량 활용 현황

           ○ 여성 경제활동 참여 현황 분석
           ○ 역량 및 스킬활용의 성별 분석

         □ 취업 여성의 역량 활용 실태

           ○ 취업 여성의 역량 및 스킬활용 특성
           ○ 직종별?산업별 여성의 기초역량 및 스킬활용 분석
           ○ 여성의 스킬과 직종별?산업별 미스매치

         □ 비취업 여성의 역량 활용 실태
         
           ○ 비취업 여성의 역량 및 스킬활용 분석
             - 실업 여성의 역량 및 스킬활용 특성
             - 비경제활동 여성의 역량 및 스킬활용 특성
             - 경력단절 여성의 역량 및 스킬활용 특성
           ○ 비취업 여성의 역량 및 스킬활용의 국제 비교 분석

         □ 기초역량 및 스킬활용의 여성 노동시장 참여 영향 분석
         
           ○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역량 및 스킬활용 효과
           ○ 노동시장 지속에 대한 역량 및 스킬활용 효과
           ○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역량 및 스킬활용 효과

         □ 정책적 시사점
         
           ○ 여성 역량의 결핍지점 도출
           ○ 여성 역량의 과잉지점 도출
           ○ 취업 및 비취업 여성의 역량 개발?유지 방안

        ▣ 연구추진방법

         □ 관련 문헌 및 자료 수집

           ○ 관련 이전 조사결과 수집
           ○ 역량의 경제적 성과 검토
           ○ 성인 역량에서의 젠더 이슈 검토

         □ 통계자료 기초 분석
         
           ○ PIAAC 기초역량 및 스킬활용 관련 기술통계
           ○ 경제활동인구조사, 경력단절실태조사 등으로 여성의 고용 실태 파악
           ○ 노동패널, KGSS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수준의 미스매치 파악, 및 인터넷?SNS 활용 역량 측정

         □ 통계자료 계량분석
         
           ○ 기초역량 및 스킬활용에 대한 성별 분석
           ○ 여성의 기초역량 및 스킬활용 결정요인 분석
           ○ 직종별 산업별 미스매치 분석
           ○ 기초역량 및 스킬활용의 노동시장 참여/지속/성과 모형 분석
           ○ 주요 분석에 대한 OECD 국가별 비교분석

         □ 전문가 자문회의
         
           ○ 분석모형 및 연구방법 자문회의
           ○ 과제 도출 및 정책방안 자문회의

        ▣ 기대효과

         ○ 예상되는 학술적 기여도

           - 그동안 여성의 인적자원 측정은 주로 학력이나 노동시장에서의 임금으로 측정되어 왔음.
             그러나 이는 모두 인적자원 수준을 나타내는 일종의 대안척도(proxy measures)일뿐 성인의
             인적자원 수준을 직접적으로 측정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음. 여성의 역량에 대한
             연구들도 다양한 직종 분야에서 수행되었으나, 대부분 역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고, 개인의
             주관적 인식에 근거하여 측정하여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려움.
           -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여성 역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여성 기초역량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시도할 뿐만 아니라 경제활동상태 및 직종, 산업 등 노동시장 구조에서의 여성역량
             실태를 파악함
           - 더불어 취업에서의 역량 효과 분석을 통해 학력에 대한 노동시장에서의 선별이론(screening theory)이
             개인의 역량(competencies)으로 얼마나 대체가능한지 가늠해 봄으로써 전통적 교육사회학 이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함.

         ○ 예상되는 정책적 기여도

           - 노동시장 전반으로 확산될 국가직무능력의 적용에 앞서 여성이 주력해야할 직업기초능력 파악
           - 노동시장 성과와 역량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정부가 추진하는 능력중심사회(국정과제2-73)에 대한
             실현가능성 점검 및 향후 과제 제시
           - 여성들의 역량 결핍 지점 및 과잉 지점을 진단함으로써 여성의 역량 및 숙련도 향상 방안의 정량적
             근거자료로 활용
           - 여성인재 육성을 위한 직종별, 산업별 여성 역량 개발 지점의 발굴
           - 성인 여성들의 역량 및 스킬 활용 패턴 분석을 통한 여성 역량 유지와 향상에서의 문제점과 개선점 마련
           - 국제 수준에서 우리나라 여성들의 역량 진단함으로써 국정과제 ‘여성인재 10만 양성’에 맞는
             국가수준에서의 여성 역량 개발에 대한 정책적 논거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