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의 운영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둘순 연구기간 2016-01-01 ~ 2016-10-31

        ▣ 연구책임자
           김둘순 연구위원

        ▣ 연구 목적
        □ 이 연구는 지난 10여 년간 추진해 온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의 운영현황 파악과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성별
           영향분석평가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음.

         ○ 첫째, 공무원이 직접 수행하는 자체성별영향분석평가와 구별될 수 있는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의 고유목적
            설정과 이를 달성할 수 있는 과제발굴?선정에서부터 연구진행, 정책개선 환류 이행시스템 구축은 어떠해야
            하는지 전반적인 프로세스 분석과 강화방안 마련

         ○ 둘째, 2012년 성별영향분석평가법 시행이후 추진된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과제의 환류실적 파악을 통해
            과제 결과보고서가 제안한 정책개선안이 어느 정도 완료되었는지, 미이행된 사항은 무엇인지, 완료/미완
            료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향후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성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방안 제시

        ▣ 주요 연구 내용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목적 및 추진 프로세스별 운영현황 파악

         ○ 공무원 자체 성별영향분석평가 목적과 구별되는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추진의 고유 목적 설정을 위한
            이론논의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의 과제발굴?선정, 연구진행과 정책개선 환류 이행 시스템 구축 등 운영현황 파악
            - 제도를 총괄주관하는 여성가족부와 특정과제 소관기관 양측 모두 포함
         ○ 고용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 등 타 영향평가제도에서 특정평가의 목적 및 운영방식 비교 검토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과제별 일반특성 분석(2005년~2014년)

         ○ 과제선정 방법 및 제도운영 체계
         ○ 연구기간 및 과제별 연구비 지원액
         ○ 주요 연구방법 및 관계자 참여 현황(소관 공무원, 대상 집단 관계자 등)
         ○ 선정과제 특성 파악: 정부 정책(법령, 계획, 사업), 또는 공공기관 사업
         ○ 선정과제의 소관기관별 현황 :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또는 다부처 연계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과제별 정책개선안 현황 및 환류 실적 조사

         ○ 특정과제별 정책개선안 제시 현황 및 특성 분석(2012년~2014년 과제)
         ○ 특정과제별 정책개선 환류 실적과 개선/미개선 원인 조사
           - 개선완료, 개선 진행 중, 개선안 됨 등으로 분류
         ○ 정책개선 완료 사례 중에서 성평등 효과 사례분석
           - 자료수집 및 수혜자 측정 가능한 개선사례 발굴 분석
            ? 예)경기도 김포 신도시 건설사업의 성별영향평가, 농기계임대사업 성별영향평가, 국민연금에 대한
            성별영향평가, 국가건강검진사업에 대한 성별영향평가 등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과제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환류실적의 차이가 있는지 조사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성과 강화를 위한 개선방안 마련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목적설정, 과제발굴방법, 연구진행 등 프로세스 개선방안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별 정책개선 환류 이행강화
         ○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 마련

        ▣ 연구추진방법

        □ 공공정책에 대한 특정평가 운영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

          ○ 정부업무평가제도 특정평가 운영 관련 국내 선행연구
          ○ 고용영향평가 정책개선 환류 관련 국내 선행연구
          ○ 건강영향평가 정책개선 환류 관련 국내 선행연구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운영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 여성가족부 행정자료
           - 지방자치단체가 자체 추진한 전문가 심층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 사례
           - 해외 관련 사례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추진방법 및 결과보고서 내용분석

          ○ 분석대상 : 여성가족부가 2005년~2014년 동안 추진한 67개 과제
          ○ 분석내용 :
            - 연구기간 및 과제별 연구비 지원액
            - 연구진 구성 및 소관기관 관계 공무원 참여 현황
            - 주요 연구방법 
            - 대상과제 특성 파악: 정부 정책(법령, 계획, 사업), 또는 공공기관 사업
            - 선정과제의 소관기관별 현황 :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또는 다부처 연계
            - 정책개선안 제시 현황 및 특성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과제별 정책개선 환류 실적 조사를 위한 공무원 FGI 또는 심층면접

          ○ 조사목적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보고서에 제시된 정책개선안의 실제 환류 방법 및 환류 실적 파악
          ○ 조사대상 : 성별영향분석평가법 시행(2012. 3) 이후 2012년~2014년 동안 추진된 18개 과제 정책개선안
                                  관련 공무원 30여명
          ○ 조사내용 : 18개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보고서에 제시된 정책개선안을 중심으로 환류여부 조사,
                                  환류 달성 또는 미달성 원인, 애로사항, 환류 실적 자료 수집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전문가 및 공무원 의견조사

          ○ 조사목적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목적, 과제발굴방법, 정책개선 환류 이행 시스템, 성과와 개선
                                 과제, 성과 강화 방안 등에 대한 의견 파악
          ○ 조사대상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추진 경험이 있는 공무원,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연구경험,
                                  컨설팅 경험 등 관련 전문가 150여명
          ○ 조사내용 : 공무원 자체성별영향분석평가와 구별되는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의 목적인식, 추진방법
                                  개선 필요성, 성과 인식, 향후 성과 강화를 위한 방안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과제 연구자 대상 간담회

          ○ 주요 내용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의 목적 인식, 연구추진과정에서 주요 역점사항, 애로사항,
                                   소관과제 담당공무원과의 협력관계, 실현가능한 성 인지적 정책개선안 도출 방법,
                                   정책개선 환류를 위한 연구자의 역할 인식
          ○ 구성 : 4~5인으로 구성하여 2회 개최

         □ 전문가 자문회의

          ○ 주요 자문사항 : 연구방향 설정,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의 적절성, 연구결과 정책 과제 제안 적절성 자문
          ○ 자문위원 구성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연구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관련 전문가 2~3인 구성
          ○ 자문회의 개최 : 3회 내외

        ▣ 기대효과

        ○ 예상되는 정책적 기여도

        - 그 동안 추진된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의 운영현황 파악을 통해 과제발굴?선정과 연구진행 및 정책개선 환류 이행 강화방안 마련. 이를 통해 필요시 성별영향분석평가 지침 개선 건의
        - 중앙성별영향분석평가위원회에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성과와 과제 안건 상정 근거자료 제공
        - 「성별영향분석평가지침」의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부분에서 소관기관의 정책 개선 환류체계 예시 제공

        ○ 예상되는 학술적 기여도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과제별 내용분석과 환류실적 조사를 통해 과제별 특성에 따라 환류실적의 차이가 있는지 탐색해 볼 수 있음. 이를 통해 환류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설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예컨대‘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과제 연구과정에서 소관 공무원과의 협의가 이루어진 과제의 정책개선안이  그렇지 않은 과제보다 환류실적이 높을 것이다’

        ○ 기타 기대효과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를 주제로 한 제도의 목적, 성과와 과제에 대해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를 최초로 실시하여 실증자료 제공